15.2 Weather Fronts

 

1. 정체전선(stationary front)에서 지상풍은 전선 영역과 평행하게 흐르는 경향이 있다.

 

2. 항공기가 전선을 통과한 후 차가운 공기로 진입하면 보통 대기압이 증가한다.

 

3. 전선을 가로질러 부는 상층풍은 보통 전선의 빠른 움직임을 유발한다. 바람이 전선과 평행하게 부는 경우에는 움직임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4. 보통 느리게 움직이는 작은 한랭전선(cold fronts)이나 정체전선을 따라 frontal waves와 low-pressure areas가 형성된다.

 

5. 전선 소멸(frontolysis)이란 서로 인접한 기단들이 변화하여(즉, 동등해져서) 전선이 소멸하는 과정을 말한다.

 

6. 불안정선(instability line)이란 대류 활동이 존재하는 비전선성(nonfrontal) 선이나 띠를 의미한다. 이러한 대류 활동이 뇌우인 경우 이를 스콜선(squall line)이라 부른다.

 

7. 건조선(dry line. 이는 dew point front라고도 불림)의 양쪽에서는 이슬점(습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공기 밀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습도의 차이를 제외하곤 양쪽 기단 사이의 차이가 거의 없다. 야간 및 이른 아침에 습한 기단에서는 안개와 낮은 구름이 우세하다. 반면 건조한 기단에서는 맑은 하늘이 일반적이다.

 

8. 돌풍 전선(gust front)은 이와 관련된 강수보다 훨씬 앞서(최대 15마일) 이동한다. 이는 폭풍이 다가오기 전에 지상풍을 급격하게 변화시킨다.

 

9. 상층풍이 전선을 가로질러 불 경우 전선이 상층풍과 함께 움직이리라 예상할 수 있다.

 

a. 전선면이 얕을 경우 광범위한 구름 및 강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10. 빠르게 이동하는 가파른 한랭전선은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 올린다.

 

a.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대체하기 때문에 앞쪽 가장자리 부근의 경사가 가파르다.

 

11. 이슬이 맺힌 뒤에 언 것을 언이슬(frozen dew)이라 한다. 반면 이슬점이 어는점보다 낮아 수증기가 승화하여 생긴 것을 서리(frost)라 한다. 언이슬은 서리와 쉽게 구별된다. 언이슬은 단단하고 투명한 반면 서리는 하얗고 불투명하다.

'ATP(2018) > 15: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ATION WEATHER  (0) 2024.02.22
15.10 High-Altitude Weather  (0) 2024.02.22
15.11 Arctic Weather  (0) 2024.02.22
15.12 Tropical Weather  (0) 2024.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