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6. Thunderstorms

 

a. 뇌우에는 난기류, 우박, , , 번개, 지속적인 상승 기류 및 하강 기류, 그리고 착빙 조건이 모두 존재한다.

 

b. 뇌우의 외관상 모습과 뇌우 내 난기류 강도(혹은 우박의 양)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뇌우의 외관상 모습은 난기류 시스템의 일부일 뿐이다. 이러한 난기류 시스템의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는 종종 뇌우 구름으로부터 훨씬 멀리 연장된다. severe thunderstorms로부터 최대 20마일까지는 severe turbulence가 예상될 수 있다. 덜 심한 폭풍의 경우 이 거리가 약 10마일로 감소된다.

 

c. 기상 레이더는 보통 moderate ~ heavy 강도의 강수를 반사한다(레이더는 난기류는 감지하지 못함). 난기류의 빈도와 강도는 보통 레이더 반사율에 따라 증가하는데 이는 수분 함량이 가장 높은 지역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20 ~ 30마일 미만으로 분리된 레이더 에코들 사이에는 severe turbulence가 존재한다 예상될 수 있다. ( 대한항공 항공기상 교재에 의하면 기상 레이더에 잘 감지되는 반사체의 순서는 젖은 우박(Wet Hail), 비(Rain), 건조한 우박(Dry Hail), 그리고 눈(Snow)이다.)

 

d. 뇌우 하단의 난기류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이는 지표면과 15,000ft 사이의 어느 고도에서 상대 습도가 낮을 때 특히 그러하다. 이 경우 해당 고도 아래에서 강한 바람과 심한 난기류가 발생할 수 있다.

 

e. 기온이 섭씨 5~ 5도 사이인 고도에서 항공기가 번개를 맞을 확률이 가장 높다. 뇌우 근처의 맑은 하늘을 비행할 때에도 번개를 맞을 수 있다.

 

f. METAR reports에는 severe thunderstorms에 대한 descriptor가 포함되지 않는다. 허나 severe thunderstorm의 기준(, 50노트의 바람이나 3/4인치의 우박)을 이해한다면 METAR report를 통해 뇌우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g. 현재의 기상 레이더 시스템은 강수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강도는 “light”, “moderate”, “heavy”, 그리고 “extreme”으로 설명된다.

 

REFERENCE-

Pilot/Controller Glossary - Precipitation Radar Weather Descriptions

 

EXAMPLE-

1. ATC 시설이 제공하는 경보:

(aircraft identification) EXTREME precipitation between ten o’clock and two o’clock, one five miles. Precipitation area is two five miles in diameter.

 

2. FSS가 제공하는 경보:

(aircraft identification) EXTREME precipitation two zero miles west of Atlanta VOR, two five miles wide, moving east at two zero knots, tops flight level three niner zer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