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ision Avoidance

 

비행 안전을 강화하기 위하여 14 CFR part 91 통행의 우선 순위, 최저비행고도, 그리고 VFR 순항고도를 설정하였다. 조종사는 다른 항적들을 scanning 함으로써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이는 공항 근처에서 특히 중요하다.

 

하늘의 연속적인 영역을 시야 중앙으로 가져오는 일련의 짧고 규칙적인 눈 움직임을 통해 효과적인 scanning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움직임은 10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항적 탐지를 위해 해당 영역을 최소 1초 이상 관찰해야 한다. 대부분의 조종사들은 눈을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선호한다. 허나 모든 조종사들은 가장 편안한 scanning 패턴을 개발한 다음 이를 준수함으로써 최적의 scanning을 보장해야 한다. 설령 통행의 우선 순위를 부여받았다 하더라도 다른 항적이 너무 가까이 있다면 양보한다.

 

Clearing Procedures

 

다양한 상황에서의 충돌 회피를 돕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 및 고려사항이 마련되었다:

 

Before takeoff 이륙 준비를 위해 활주로로 이동하기 전에 접근 구역을 살펴본다. 이는 착륙 항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Climbs and descents 상승/하강 도중 공역이 계속 확인될 수 있도록 좌우로 bank를 가한다.

 

Straight and level 직진수평비행을 수행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clearing procedures를 수행한다.

 

Traffic patterns 하강 도중 traffic pattern에 진입하는 것을 피한다.

 

Traffic at VOR sites VOR 근처와 intersection에서는 항적들이 집중되므로 지속적인 경계를 유지해야 한다.

 

Training operations 기동을 연습하기 전에 clearing turns를 수행해야 하며 경계를 유지해야 한다. 조종사는 clearing procedures(“clear left, right, above, and below”)를 말해야 한다.

 

고익기와 저익기는 각각 사각지대를 가지고 있다. 고익기의 조종사는 선회를 수행하기 전에 선회 방향쪽 날개를 잠깐 올려서 항적을 살펴야 한다. 저익기 조종사는 선회를 수행하기 전에 선회 방향쪽 날개를 잠깐 내려서 항적을 살펴야 한다.

 

Pilost Deviations(PDs)

 

PD란 Federal Aviation Regulation을 위반하는 조종사 행동이다. 조종사는 PD를 피해야 한다. 단, TCAS(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resolution advisory에 따라 clearance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허용된다. clearance를 벗어난 후 조종사는 최대한 빨리 이를 ATC에 통보해야 한다.

 

PD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할당받은 heading이나 altitude를 벗어날 경우, 혹은 관제공역이나 제한 공역을 ATC clearance 없이 통과하는 경우 airborne deviations가 발생한다.

 

airborne deviations를 방지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른다:

 

Plan each flight 매 비행 전에 몇 분 정도의 시간을 두어 적절한 계획을 세운다. 설령 이전에 비행을 여러 번 수행해본 적이 있다 하더라도 비행 상황 및 조건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TFR  temporary flight restriction이 갑자기 발생함).

 

Talk and squawk ATC와의 교신은 이점을 가진다. flight following은 보통 관제사의 업무를 더욱 쉽게 만들어준다. 왜냐하면 ATCVFR 항적과 IFR 항적을 더 제대로 통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Give yourself some room GPS는 일반적으로 ATC 레이더보다 더 정확하다. GPS를 통해 제한 공역의 경계를 따라 비행할 경우 PD가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ATC 레이더는 조종사가 제한 공역 이내에 있다고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clearance 없이 taxiingtaking offlanding하는 것, 할당된 taxi route에서 벗어나는 것, 혹은 할당된 clearance limit에서 hold short 하지 않은 것은 ground deviations(surface deviations라고도 불림)포함된다. ground deviations를 방지하기 위해선 지상 운영 도중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irborne deviations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들이 지상에서도 이용된다.

 

또한 조종사는 vehicle/pedestrian deviations(V/PD)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아야 한다. ATC의 승인 없이 runway movement area를 이동하여 항공기 운영을 방해하는 보행자, 차량, 혹은 기타 물체가 V/PD에 포함된다. 심한 경우 PDVPD로 인해 runway incursion이 발생할 수도 있다. ground deviation을 방지하기 위한 좋은 습관들을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Runway Incursion Avoidance

 

runway incursion이란 “runway environment의 항공기차량사람지상 물체가 충돌 위험을 발생시킨 경우, 혹은 이륙하는 항공기이륙하려는 항공기착륙하는 항공기착륙하려는 항공기와의 분리를 상실시킨 경우"를 의미한다. 지상에서도 공중에서와 동일한 수준의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계획은 runway incursion과 지상 충돌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조종사는 항상 지상에서의 항공기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공항의 다른 항적 및 차량 운영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공항이 혼잡하고 taxi instructions가 복잡한 경우 taxi instructions를 직접 적는 것이 권장된다. 다음은 runway incursion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이다:

 

runway crossing /혹은 hold instructions를 모두 read back 한다.

 

착륙을 위한 하강 전에, 그리고 taxi 도중에 airport layout을 검토한다.

 

공항 표지를 잘 안다.

 

활주로/유도로 폐쇄 및 공사 구역에 대한 정보를 위해 NOTAM을 검토한다.

 

taxi 경로가 확실하지 않을 경우 ATCprogressive taxi를 요청한다.

 

활주로를 교차하기 전에, 그리고 유도로에 진입하기 전에 항적을 확인한다.

 

taxi 도중 항공기 등화들과 rotating beacon(혹은 strobe lights)를 켠다.

 

착륙 시 최대한 빨리 활주로를 개방한다. 그런 다음 taxi instructions를 기다린다.

 

ground control의 지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 올바른 용어를 학습한다.

 

낯선 공항에서는 taxi instructions를 받아 적는다.

 

다음은 runway incursions로 이어질 수 있는 PD, OI(operational incidents), 그리고 vehicle(driver) deviations의 예시이다.

 

Pilot Deviations:

 

ATC의 인가 없이 runway hold marking을 통과

 

인가 없이 이륙

 

∙ 인가 없이 착륙

 

Operational Incidents(OI):

 

다른 항공기가 착륙하고 있을 때 활주로 진입을 인가

 

다른 항공기(혹은 차량)가 활주로를 사용 중일 때 이륙을 인가

 

Vehicle(Driver) Deviations:

 

ATC의 인가 없이 runway hold marking을 통과

 

 

Causal Factors of Runway Incursions

 

이러한 사건에 기여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 ATC 지시를 준수하지 못함

 

• 공항에 익숙하지 않음

 

• 표준운항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준수하지 못함

 

안전한 지상 운영을 위해선 명확한, 간결한, 그리고 효율적인 조종사/관제사 교신이 중요하다. 조종사는 모든 ATC 지시를 완벽하게 준수해야 한다. 모든 runway “hold short” instructions를 그대로 read back 해야 한다.

 

낯선 공항에서 taxi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특히 야간일 때, 혹은 저시정일 때). 이 경우 조종사는 progressive taxi instructions를 요청할 수 있다. 최신 airport diagram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눈을 바깥으로 향하고, ATC clearance에 따라 지상을 이동하는데 주의를 기울인다. taxi 도중 불필요한 잡담이나 그 외 활동을 하지 않는다. [그림 14-48]

Runway Confusion

 

runway confusionrunway incursions의 일부이다. 이는 종종 유도로에서의, 혹은 잘못된 활주로에서의 이착륙을 초래한다. 보통 이러한 실수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그 실수를 인지하지 못한다.

 

Causal Factors of Runway Confusion

 

runway confusion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이 있다:

 

공항의 복잡성

 

• 여러 runway threshold가 근접한 정도

 

활주로를 유도로로 사용함

 

공항의 복잡성은 runway incursion 뿐만 아니라 runway confusion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공항이 익숙하지 않아서 taxi clearance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필요하다면 주저하지 말고 ATC에 도움을 요청한다. 항상 최신 airport diagram을 소지한다. 그리고 departure runway로 향하는 taxi route를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여러 runway threshold가 서로 인접한 공항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활주로로 이동할 때 극도로 주의해야 한다. 그림 14-49는 여러 활주로로 이어지는 유도로의 예시를 보여준다. runway 36에서 출항하는 경우 항공기 heading “bug”360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잘못된 활주로에서 출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항공기를 runway heading에 정렬한다. 출력을 가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계기들을 스캔하여 항공기 headingrunway heading이 정렬되었는지 확인한다. 경우에 따라 활주로를 유도로로 사용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 공사 도중 일부 유도로가 폐쇄되어 항공기가 활주로로 우회해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항 항적이 활주로의 full length를 사용하기 위해 활주로에서 back taxi를 수행해야할 수 있다.

부주의와 혼란은 종종 runway incursion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황 인식(SA)을 유지하고 극도로 조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활주로를 유도로로 사용하라는 지시를 받은 경우 해당 활주로에서 이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ATC Instructions

 

14 CFR part 91, section 91.123은 조종사로 하여금 모든 ATC clearances/instructions를 따르도록 요구한다. clearance나 instruction을 잘 모르겠다면 설명을 요청한다. 공항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혹은 taxi route를 잘 모르겠는 경우에는 ATC“progressive taxi”를 요청한다. progressive taxi란 관제사가 단계적으로 taxi instructions를 제공하는 것이다.

 

ATC의 지시에 따라 행동할 최종 권한은 조종사에게 달려 있다. ATC의 지시를 안전하게 준수할 수 없다면 즉시 “UNABLE”이라 알린다. clearance를 안전하게 준수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runway incursions를 완화하는 또 다른 방법은 ATC로부터 받은 모든 taxi instructions를 즉시 받아 적는 것이다. [그림 14-50] 다른 항적에게 발부되는 ATC clearances/instructions를 모니터링 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 유사한 호출부호를 가진 다른 항공기가 있다면 특히 주의하여 착각을 피해야 한다.

 

항공기 호출 부호와 함께 모든 ATC clearanceread back 한다. 이를 통해 ATC는 조종사가 잘못 이해한 것은 없는지, 그리고 지시가 올바른 항공기에게 전달되었는지 확인한다. 언제든 ATC clearances/instructions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say again”이나 progressive taxi instructions를 요청한다.

 

ATC Instructions - “Hold Short”

 

공항에서 가장 중요한 signmarkinghold signhold marking이다. 이들은 활주로로 직접 연결되는 stub taxiway에 위치한다. hold signhold marking은 항공기가 runway environment에 진입하지 않도록 정지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림 14-51] 예를 들어 그림 14-52Runway 13 및 Runway 31holding position sign/marking을 보여준다.

ATC“hold short” clearance를 발부한 경우 조종사는 runway holding marking을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 관제탑이 운영되는 공항의 경우 ATC의 지시 없이 runway hold markings 통과해서는 안 된다. 활주로를 횡단하라는, 활주로에서 이륙하라는, 혹은 활주로에 “line up and wait” 하라는 ATC의 지시가 없는 한 활주로에 진입하지 않는다.

 

ATC는 모든 runway “hold short” instructions에 대하여 조종사의 read back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조종사는 clearance와 “hold short” instruction을 read back 해야 한다.

 

그림 14-53은 관제사의 taxi and “hold short” instructions와 조종사의 응답을 보여준다.

ATC Instructions Explicit Runway Crossing

 

ATC는 각 활주로의 “교차(cross)”나 “대기(hold short)”에 대해 explicit instructions를 발부해야 한다. 활주로를 횡단하라는 지시는 보통 한 번에 하나씩 발부된다. 다른 활주로를 횡단하라는 지시를 발부하기 위해선 항공기가 반드시 이전 활주로를 건너야 한다. 이는 모든 활주로(active runway, inactive runway, 혹은 closed runway)에 적용된다. 그림 14-54ATC와 조종사의 교신을 보여준다. ATC로부터 활주로에 진입하라는, 혹은 활주로를 교차하라는 지시를 발부받은 경우 각별히 주의한다(특히 야간일 때, 그리고 저시정 조건일 때). 활주로 입구에 접근할 때 항상 hold short instruction이나 crossing instruction을 준수해야 한다. ATCclearance를 발부하였다 하더라도 활주로에 진입하기 전에, 혹은 활주로를 교차하기 전에 활주로와 접근 영역을 확인한다.

 

ATC Instructions - “Line Up and Wait”(LUAW)

 

항적이나 그 외 이유로 takeoff clearance를 즉시 발부할 수 없는 경우 ATC “line up and wait”(LUAW)을 사용한다.

 

“line up and wait”는 이륙 허가가 아니다. 이는 활주로에 진입한 다음 대기하라는 clearance이다. 관제사는 항공기 호출부호, 출항 활주로, 그리고 “line up and wait”를 명시한다. 활주로에서 항공기가 line up and wait 중임을 다른 항적들에게 알리기 위해 관제사는 “traffic holding in position”이라 명시한다. “line up and wait”를 받았다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특히 야간, 혹은 저시정일 때). 활주로에 진입하기 전에 활주로, 그리고 접근 영역에 다른 항적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line up and wait”을 지시할 때 ATC는 takeoff clearance가 지연되는 이유를 명시해야 한다. 여기에는 다른 항공기의 착륙 및/혹은 이륙, wake turbulence, 혹은 교차 활주로를 통과하는 항적이 포함될 수 있다.

 

지연 사유를 통보받았다면 해당 사유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때 takeoff clearance가 발부되리라 예상한다.

 

만약 “line up and wait”를 받은 후 90초 이내에 takeoff clearance를 받지 못하였다면 즉시 ATC와 교신한다.

 

∙ taxiway intersection에서 “line up and wait” instructions와 takeoff clearances를 발부하는 경우 ATC는 유도로의 명칭을 명시한다.

 

Example - “N123AG Runway One-Eight, at Charlie Three, line up and wait.”

 

Example - “N123AG Runway One-Eight, at Charlie Three, cleared for takeoff.”

 

LUAW 절차가 사용중이며 접근 항공기가 존재한다면 ATC는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LUAW 항공기에게 가장 가까운 항적을 알려준다.

 

Example - “N123AG, Runway One-Eight, line up and wait, traffic a Cessna 210 on a six-mile final.”

 

경우에 따라 ATCLUAW 항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접근 항공기에게 landing clearance를 발부할 수 있다. 접근 항공기에게 항적 정보가 발부된다.

 

Example - “N456HK, Runway One-Eight, cleared to land, traffic a DeHavilland Otter holding in position.”

 

NOTE: ATC는 접근 항공기와 LUAW 항공기가 충돌하지 않도록 takeoff clearance를 발부해야 한다. 늦어도 접근 항공기가 threshold를 통과하기 전까지 runway separation이 존재해야 한다.

 

LUAW 항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landing clearance를 발부할 수 없는 경우 ATC는 접근 항공기에게 항적 정보를 발부한다.

 

Example - “N456HK, Runway One-eight, continue, traffic holding in position.”

 

ATC Instructions - “Runway Shortened”

 

출항이나 입항에 영향을 미치는 공항 변경 사항들을 확인하기 위해 비행 전에 NOTAM을 검토해야 한다. 공사로 인해 활주로가 일시적으로(혹은 영구적으로) 짧아진 경우 ATIS“warning”, 그리고 “shortened”라는 단어가 포함된다. 활주로가 일시적으로 짧아지는 공사 도중 ATCclearance instructions에 “shortened”라는 단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공사 도중 ATC는 “full length”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ATC instructions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Runway three six shortened, line up and wait.”

 

“Runway three six shortened, cleared for takeoff.”

 

“Runway three six shortened, cleared to land.”

 

활주로가 일시적으로(혹은 영구적으로) 짧아졌을 때 intersection departure가 요청될 경우 관제사는 남은 활주로 길이를 명시한다. 예를 들어 “Runway three six at Echo, intersection departure, 5600 feet available.” 공사로 인하여 활주로가 영구적으로 짧아진 후 Chart supplement U.S.에 해당 변경 사항이 업데이트 되기 전까지는 ATC가 “shortened”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Pre-Landing, Landing, and After-Landing

 

en route 도중 목적지 공항의 ATIS/landing information을 수신한 후 airport diagram을 검토한다. 그리고 exit taxiway에 대하여 브리핑한다. 다음을 확인한다:

 

exit taxiway 근처에 runway hold markings가 있는가?

 

ATC clearance 없이 hold markings를 통과하거나 다른 활주로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착륙 후 exit taxiways가 다른 활주로와 교차하는 지점에서 최대한 주의한다. 그리고 ATC의 허가 없이 다른 활주로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관제탑이 막바지에 turnoff instructions를 제공하였다면 해당 지시를 명확하게 이해하였으며 속도가 적절하지 않는 한 지시를 수락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착륙 후 활주로를 개방할 때 항공기가 runway hold markings를 완전히 통과하였는지 확인한다. 항공기의 모든 부분들이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를 통과하였다면 ATC가 추가 지시를 발부하기 전까지 대기한다. 항공기를 정지시킨 다음 브레이크를 설정하기 전까지는 불필요한 교신이나 행동을 하지 않는다.

 

 

'PHAK(2023) > 14: Airport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Radio Communications  (0) 2023.05.15
(9) Air Traffic Control  (0) 2023.05.15
(10) Wake Turbulence  (1) 2023.05.15
(12) Engineered Materials Arresting Systems  (0) 2023.05.15
(13) Chapter Summary  (0) 2023.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