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1. PIREPs Relating to Turbulence

 

a. 난기류를 맞이한 경우 조종사는 실현 가능한 대로 그 상황을 ATC에 보고해야 한다. 난기류와 연관된 PIREP은 다음을 명시해야 한다:

 

1. 항공기의 위치.

 

2. 발생 시간(UTC).

 

3. 난기류의 강도.

 

4. 난기류가 구름 내부에서 발생하였는지, 혹은 근처에서 발생하였는지.

 

5. 항공기의 altitude/flight level.

 

6. 항공기의 형식.

 

7. 난기류 지속 시간.

 

EXAMPLE-

1. Over Omaha, 1232Z, moderate turbulence in clouds at Flight Level three one zero, Boeing 707.

 

2. From five zero miles south of Albuquerque to three zero miles north of Phoenix, 1250Z, occasional moderate chop at Flight Level three three zero, DC8.

 

b. 지속 시간과 강도는 표 7-1-11을 사용해야 한다.

 

 

 

TBL 7-1-11

Turbulence Reporting Criteria Table

 

Intensity Aircraft Reaction Reaction Inside Aircraft Reporting Term-Definition
Light  
순간적으로 약간의 불규칙한 고도 및/혹은 자세(pitch, roll, yaw) 변화를 일으키는 난기류. 이를 Light turbulence라 보고한다.
 
고도나 자세의 현저한 변화는 없으나 약간의 빠르고 리듬감 있는 흔들림을 일으키는 난기류를 Light Chop이라 보고한다.
 
 
탑승객은 안전벨트로부터 약간의 압박을 느낄 수 있다. 고정되지 않은 물체가 약간 움직일 수 있다. food service가 수행될 수 있으며 보행에 어려움이 거의 없다. Occasional – 발생 시간의 1/3 미만.
Intermittent – 1/3 ~ 2/3.
Continuous – 2/3 이상.

NOTE
1. 조종사는 위치, 시간(UTC), 강도, 구름의 내부인지 구름의 근처인지, 항공기의 형식,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에는 난기류의 지속시간을 보고해야 한다.
 
2. 지속 시간은 두 지점 사이의 시간, 혹은 한 지점에서의 시간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모든 지점들은 쉽게 식별되어야 한다.
 
EXAMPLES:
 
a. Over Omaha. 1232Z, Moderate Turbulence, in cloud, Flight Level 310, B707.
 
b. From 50 miles south of Albuquerque to 30 miles north of Phoenix, 1210Z to 1250Z, occasional Moderate Chop, Flight Level 330, DC8.
Moderate  
Light Turbulence와 유사하나 그 강도가 더 세다. 고도 및/혹은 자세에 변화가 있으나 항공기 제어는 항상 유지된다. 이는 보통 indicated airspeed에 변화를 일으킨다. 이를 Moderate Turbulence라 보고한다.
 
Light Chop와 유사하나 그 강도가 더 강하다. 고도나 자세의 현저한 변화는 없으나 급격한 충격이나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를 Moderate Chop이라 보고한다.
 
 
탑승객은 안전벨트로부터 분명한 압박을 느낀다. 고정되지 않은 물체가 제자리를 벗어난다. food service와 보행이 어렵다.
Severe  
고도 및/혹은 자세에 크고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난기류. 이는 보통 indicated airspeed에 많은 변화를 일으킨다. 항공기가 순간적으로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Severe Turbulence라 보고한다.
 
탑승객은 안전벨트로부터 격렬한 압박을 느낀다. 고정되지 않은 물체들이 엎치락뒤치락 한다. food service와 보행이 불가능하다.
Extreme 항공기가 격렬하게 엎치락뒤치락 하며 사실상 항공기 제어가 불가능한 난기류. 이는 구조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Extreme Turbulence라 보고한다.  
적운형 구름과 관련 없는 고고도(보통 15,000ft ASL) 난기류는 적절한 강도와 함께 CAT(clear air turbulence)로 보고되거나, 혹은 light chop/moderate chop으로 보고되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