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uational Awareness
상황 인식(situational awareness)은 비행 전, 비행 중, 그리고 비행 후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기본 위험 요소(비행, 조종사, 항공기, 환경, 그리고 특정 상황을 구성하는 운영)의 모든 요소 및 조건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항적, 기상, 그리고 ATC 교신에 대한 무선 교신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조종사는 현재 상황을 파악하여 상황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황 인식을 유지하기 위해선 비행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비행에 미치는 미래 영향을 이해해야 한다.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모든 운항 상황을 파악할 경우 조종사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에 집착하지 않게 된다. 항공기의 지리적 위치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예를 들어 vector를 받는 경우 조종사는 왜 본인이 vector를 받고 있는지를, 그리고 공간상 위치를 알아야 한다. 이유를 이해하지 못한 채 그저 선회만 수행할 경우 비상 상황 발생할 시 항공기 관리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상황 인식을 유지하기 위해선 ADM과 관련된 모든 기술들을 사용해야 한다.
Obstacles to Maintaining Situational Awareness
피로, 스트레스, 그리고 업무 과부하는 조종사로 하여금 중요하다 인지되는 한 가지 항목에 집착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비행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 인식을 저하시킬 수 있다. 많은 사고 원인 중 하나는 계기 모니터링으로부터, 혹은 외부 스캐닝으로부터 조종사의 주의를 돌리는 주의산만이다. 많은 조종실 주의산만이 사소한 문제로부터 시작된다(예를 들어 올바른 값을 지시하지 않는 계기). 허나 조종사가 문제로부터 주의를 돌리고 항공기 제어를 소홀히 할 경우 사고가 발생한다.
Workload Management
업무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업무를 계획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며, 순서를 지정함으로써 효과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하다. [그림 2-19] 경험이 쌓이면서 조종사는 미래의 업무를 인지하는 방법을 배우며 여유가 있을 때 업무량이 많은 시기를 대비할 수 있다. 사전에 적절한 차트를 검토하고 무선 주파수를 설정해둘 경우 비행기가 공항에 가까워질 때 업무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조종사는 ATIS, ASOS(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혹은 AWOS(Automated Weather Observing System)을 청취해야 한다. 그리고 tower 주파수, 혹은 CTAF(Common Traffic Advisory Frequency)를 모니터링 하여 항적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항적 및 ATC 지시에 집중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미리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항적이 많은 지역(예를 들어 B등급 공역)에 진입하기 전에 특히 더 중요하다.
업무를 관리하기 위해선 항목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상황에서든 조종사는 "aviate, navigate, and communicate"를 기억해야 한다(특히 비상 상황이라면 더더욱). 즉, 조종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적절한 착륙 지역으로 향하기 시작한다. 조종사는 aviate와 navigate가 완료된 후에 다른 누군가와 교신을 시도해야 한다.
업무 과부하 상황을 인지하는 것 또한 업무 관리의 중요한 요소이다. 높은 업무량의 첫 번째 영향은 조종사가 더 열심히 노력하나 성과가 적다는 것이다. 업무량이 증가하면 한 번에 여러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하나의 항목에만 집중하기 시작할 수 있다. 업무 포화 상태가 발생할 경우 다양한 자원들로부터의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불완전한 정보로부터 의사 결정을 내려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림 2-20]
업무 과부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조종사는 일단 멈추고, 생각하고, 속도를 늦추고,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업무량을 줄이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VFR condition에서 문이 열린 경우 현 상황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다. 허나 IFR conditions에서 문이 열렸다면 현 상황이 업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따라서 적절한 관점에서 상황을 파악하고, 침착함을 유지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그리고 안전하게 비행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능력은 경험과 훈련에 따라 달라진다.
Managing Risks
위험을 관리하는 능력은 사전준비에서 시작된다. 다음은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조종사가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이다:
∙경험에 입각하여 위험을 평가한다. risk assessment 형식 중 일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기상이 좋지 않으며 조종사가 IMC 훈련을 거의 받지 않았다면 비행을 취소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SAFETY list를 사용하여 승객들을 브리핑 한다:
S
- taxi, takeoff, landing 시 안전벨트 착용.
- 좌석 제자리로 조정 및 고정.
A
- air vents(위치 및 사용법).
- 모든 environmental controls(위치 및 사용법).
- 승객 불편사항 발생 시 조치 방법.
F
- 소화기(위치 및 사용법).
E
- 비상구(잠그는 방법과 여는 방법).
- 비상 대피 계획.
- 비상/생존 키트(위치 및 내용물).
T
- 항적(스캐닝 방법, 그리고 이를 조종사에게 알리는 방법).
- 의사소통(“sterile flight deck” 시기).
Y
- 질문? (궁금하게 있으면 말하시오).
∙흡연 가능 여부, 비행 고도, 비행시간, 목적지, 비행 중 기상, 목적지 예상 기상, 제어장치와 그 기능, 그리고 항공기의 능력 및 한계에 대하여 승객과 논의한다.
∙출항 후 첫 intermediate altitude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sterile flight deck(조종사와 승객간의, 혹은 승객과 승객간의 의사소통 없이 완전히 침묵하는 것)을 사용한다.
∙접근을 위한 vector나 하강 도중 sterile flight deck을 사용한다.
∙업무량이 적은 때에는 승객들에게 정보를 계속 알려준다.
∙간단한 업무(예를 들어 차트 들고 있기)를 위해 우측 좌석에 앉은 승객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는 조종사의 업무를 완화한다.
'PHAK(2023) > 2: Aeronautical Decision-Ma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Human Behavior (0) | 2023.11.24 |
---|---|
(8) The Decision-Making Process (0) | 2023.11.24 |
(9) Decision-Making in a Dynamic Environment (0) | 2023.11.24 |
(11) Automation (1) | 2023.11.24 |
(12) Chapter Summary (0)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