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Illusions in Flight

 

a. Introduction. 비행 도중 많은 착각을 경험할 수 있다. 일부는 공간정위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그 외의 것들은 착륙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 착각은 치명적 항공기 사고의 원인으로 인용되는 가장 일반적 요소들 중 하나이다.

 

b. Illusions Leading to Spatial Disorientation.

 

1. 비행 중 마주하는 다양한 움직임과 힘, 그리고 특정 시각적 장면은 움직임과 위치에 대해 착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착각으로부터의 공간정위상실은 지상의 고정된 지점, 혹은 비행계기의 참조를 통해서만 방지될 수 있다.

 

(ATP: 공간정위상실은 다양한 감각 기관으로부터 잘못된 정보가 뇌로 전달되어 일시적 혼란이 발생한 상태이다. 비행 자세를 해석하기 위해 신체 감각을 사용할 경우 공간정위상실에 더 취약해진다.)

 

2. The leans. 내이(inner ear)의 움직임 감지 시스템을 자극하기엔 너무 느리게 진입된 bank attitude를 갑작스럽게 수정할 경우 반대 방향으로 bank진 듯한 착각을 유발할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는 조종사는 항공기를 원래의 위험한 자세로 다시 roll 할 것이다. 만약 수평 비행이 유지된다면 조종사는 이러한 착각이 사라지기 전까지는 기울어져있다 느낄 것이다.

 

(a) Coriolis Illusion. 오래 지속된 constant-rate turn으로 인해 움직임 감지 시스템의 자극이 중단된 상태에서 갑자기 머리가 움직이면 완전히 다른 축에서 회전, 혹은 움직이는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회전을 멈추기 위해 항공기를 위험한 자세로 조종할 것이다. 갑작스럽게 머리를 움직이지 않을 경우 이러한 착각이 방지될 수 있다(특히 IFR conditions에서 오랫동안 constant-rate turn을 수행하는 동안).

 

(b) Graveyard spin. 움직임 감지 시스템을 자극하지 않는 스핀으로부터 적절한 회복을 수행할 경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착각이 만들어질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원래의 스핀으로 되돌릴 것이다.

 

(c) Graveyard spiral. 움직임 감지 시스템을 자극하지 않는 coordinated constant-rate turn 도중 고도 감소를 발견하였을 시 날개 수평 상태로 하강 중이라 착각할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조종간을 당겨 spiral을 더 좁게 만들고 고도 손실을 증가시킨다.

 

(d) Somatogravic illusion. 이륙 도중 급격한 가속은 nose up attitude에 있는 것처럼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nose low attitude, 혹은 dive attitude로 밀어 넣는다. throttles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빠른 감속은 이 반대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nose up attitude, 혹은 stall attitude로 당긴다.

 

(e) Inversion illusion. 상승에서 직진수평비행으로 갑자기 변화하면 뒤로 넘어가는 착각이 발생할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nose low attitude로 밀어 넣어 이 착각을 심해지게 만들 수 있다.

 

(f) Elevator illusion. 위로 향하는 갑작스러운 가속은(일반적으로 updraft에 의한) 상승 중이라는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nose low attitude로 밀어 넣는다. 아래로 향하는 갑작스러운 가속은(일반적으로 downdraft에 의해) 이 반대의 효과를 발생시킨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nose up attitude로 당긴다.

 

(g) False horizon. 비스듬한 구름, 모호한 수평선, 별과 지상의 빛들이 펼쳐진 어두운 광경, 그리고 특정 기하학적 패턴을 갖춘 지상의 빛들은 실제 수평선과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착각을 만들어낼 수 있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는 항공기를 위험한 자세로 놓을 것이다.

 

(h) Autokinesis. 어둠 속에서 고정된 빛을 몇 초 동안 바라보면 이것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방향 감각을 잃은 조종사가 항공기를 빛과 정렬하려 시도할 경우 항공기를 제어할 수 없게 될 것이다.

 

3. Illusions Leading to landing Errors.

 

(a) 착륙 시 마주하는 다양한 지표면 특성과 대기 조건은 runway threshold로부터의 잘못된 높이 착각, 그리고 잘못된 거리 착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접근 도중 이러한 착각을 예상하고, 착륙 전에 공항을 육안 확인하며, electronic glide slope이나 VASI 시스템을 사용하고, 최적의 착륙 절차 숙련도를 유지함으로써 착각으로부터의 착륙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b) Runway width illusion. 좁은 활주로는 항공기가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는 착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착각을 인지하지 못한 조종사는 낮은 접근을 수행할 것이다. 이는 접근 경로를 따라 위치한 물체와 충돌할 위험을, 혹은 짧게 착륙할 위험을 유발한다. 넓은 활주로는 이와 반대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너무 높은 곳에서 수평을 잡아 hard landing으로 이어지거나, 혹은 활주로를 overshoot 할 수 있다.

 

(c) Runway and terrain slopes illusion. 상승 활주로나 상승 지형(혹은 둘 다)은 항공기가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는 착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착각을 인지하지 못한 조종사는 낮은 접근을 수행할 것이다. 하강 활주로나 하강 지형(혹은 둘 다)은 이와 반대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d) Featureless terrain illusion. 지면에 특징이 없는 곳에 착륙하는 경우(예를 들어 수면, 어두운 지역, 그리고 눈 덮인 지형) 항공기가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는 착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착각을 인지하지 못한 조종사는 낮은 접근을 수행할 것이다.

 

(e) Atmospheric illusions. 앞 유리에 비가 내리면 더 높아 보이는 착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연무는 활주로가 더 멀어 보이는 착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착각들을 인지하지 못한 조종사는 낮은 접근을 수행할 것이다. 안개를 관통할 경우 pitching up 하는 착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착각을 인지하지 못한 조종사는 가파른 접근을 수행할 것이다.

 

(f) Ground lighting illusions. 직선 경로(예를 들어 도로)를 따라 놓인 조명들, 그리고 심지어 움직이는 기차는 활주로 및 접근 등화로 착각될 수 있다. 밝은 활주로 및 접근 등화 시스템은 활주로가 더 가까워 보이는 착각을 만들어낼 수 있다(특히 주변을 비추는 조명이 거의 없는 경우). 이러한 착각을 인지하지 못한 조종사는 높은 접근을 수행할 것이다. 반대로 조명이 거의 없는 지형의 상공을 비행하는 조종사는 낮은 접근을 수행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