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Management

 

위험 관리(risk management)의 목표는 안전과 관련된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여 이와 관련된 위험을 완화하는 것이다. 위험 관리는 ADM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조종사가 훌륭한 의사 결정 관행을 따를 경우 비행에 내재된 위험이 감소된다. 훌륭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직간접적 경험 및 교육에 기반을 두고 있다. 위험 관리 의사 결정 과정은 그림 2-3과 같이 여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ATP: risk management는 각 비행과 관련된 위험을 줄이기 위한 의사 결정 과정의 일부이다. 이는 situational awareness, problem recognition, 그리고 good judgement를 필요로 한다.)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생각해 보라. 불과 20년 만에 안전벨트의 착용이 일반화되면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일반적이지 않게 되었다. 허나 이러한 사람들도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 안전벨트 착용의 가치를 배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부상으로 이어지는 교통사고를 당할 경우 직접적 경험을 통해 안전벨트 착용의 가치에 대해 알게 된다. 반면 사랑하는 사람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 부상을 당할 경우 간접적 경험을 통해 안전벨트 착용의 가치에 대해 알게 된다.

 

ADM을 수행하는 동안 위험 관리의 네 가지 기본 원칙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불필요한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다. 만약 새로운 비행기를 처음 조종하는 경우 저시정 조건에서 비행하는 위험은 불필요하다 판단될 수 있다.

 

2. 적절한 수준에서 위험 결정(risk decision)을 내린다. 위험 결정은 위험 통제(risk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 내려야 한다. 당신은 PIC이므로 다른 누군가(ATC와 승객)가 당신을 위해 위험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이익이 위험보다 클 경우 위험을 받아들인다. 어떤 비행 활동이든 어느 정도의 위험을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익숙지 않은 비행기를 조종하기엔 low IFR conditions보다 good weather가 더 좋다.

 

4. 위험 관리를 모든 계획 단계에 통합한다. 위험은 모든 비행에서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서는 비행 전 계획 단계뿐만 아니라 비행의 모든 단계에서 위험 관리를 사용해야 한다.

 

ADM은 비행 환경에서의 관리를 향상시키므로 모든 조종사들은 ADM을 숙지 및 사용해야 한다.

'PHAK(2023) > 2: Aeronautical Decision-Ma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Introduction  (0) 2023.11.24
(2) History of ADM  (0) 2023.11.24
(4)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and Single-Pilot Resource Management  (0) 2023.11.24
(5) Hazard and Risk  (1) 2023.11.24
(6) Human Factors  (0) 2023.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