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 General

 

a. 공항 포장도로의 markingssigns는 이륙, 착륙, 그리고 지상 활주 중인 조종사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b. 모든 공항들의 markingssigns가 일치하면 안전성과 효율성이 향상된다.

 

c. 비효율적이거나, 부정확하거나, 혹은 혼동을 주는 markings/signs를 확인한 조종사는 공항 운영자에게 문제를 인지시켜야 한다. 이는 paragraph 7-7-1, Aviation Safety Reporting Program에 따라 보고될 수도 있고 FAA regional airports division에 보고될 수도 있다.

 

d. 이 장에서 설명하는 markingssignsFAA 권장 기준을 반영한다.

 

REFERENCE -

AC 150/5340-1, Standards for Airport Markings.

AC 150/5340-18, Standards for Airport Sign Systems.

 

2-3-2. Airport Pavement Markings

 

a. General. 공항 포장도로의 markings는 네 가지로 분류된다:

 

1. Runway Markings.

2. Taxiway Markings.

3. Holding Position Markings.

4. Other Markings.

 

b. Marking Colors. 활주로를 위한 markings는 흰색이다. 헬기장의 착륙 구역을 나타내는 markings도 흰색이다(, 병원 헬기장은 흰색 십자가에 빨간색 “H”를 사용). 유도로, 항공기가 사용할 수 없는 영역(폐쇄 영역과 위험 영역), 그리고 대기 지점(설령 활주로에 있다 하여도)을 위한 markings는 노란색이다.

 

'AIM 2장: Aeronautical Lighting and etc > Section 3. Airport Marking Aids & Sig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 General  (0) 2023.07.16
2-3-3. Runway Markings  (0) 2023.07.16
2-3-4. Taxiway Markings  (0) 2023.07.16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0) 2023.07.16
2-3-6. Other Markings  (0) 2023.07.16

2-3-3. Runway Markings

 

a. General. 활주로에 대한 세 가지 유형의 markings가 있다: visual, nonprecision instrument, precision instrument. 2-3-1은 각 활주로 유형에 대한 marking 요소들을 식별한다. 그리고 표 2-3-2runway threshold markings를 식별한다.

b. Runway Designators. runway numbersletters는 접근 방향으로부터 결정된다. runway number는 자북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활주로 중심선 자기 방위각의 10분의 1에 가장 가까운 정수이다. 해당하는 경우 lettersleft(L), right(R), center(C) parallel runways로 구분된다.

 

1. 두 개의 parallel runways“L” “R.”

2. 세 개의 parallel runways“L” “C” “R.”

 

c. Runway Centerline Marking. 활주로 중심선은 활주로의 중앙을 식별한다. 이는 이착륙 도중 활주로 정렬을 제공한다. 중심선은 균일한 간격의 선들로 구성된다.

 

d. Runway Aiming Point Marking. aiming point marking은 착륙 항공기의 시각적 조준점 역할을 한다. 이는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흰색 직사각형 markings로 구성되며 landing threshold로부터 약 1,000ft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그림 2-3-1, Precision Instrument Runway Markings 참조.)


※ 다음은 ICAO ANNEX 14, CHAPTER 5의 Aiming point marking을 발췌한 내용이다.

 

ICAO의 경우 2400m 이상의 LDA를 갖춘 활주로에 대해 aiming point를 400m(1,312ft) 지점에 배치한다. 


e. Runway Touchdown Zone Markers. touchdown zone markings는 착륙을 위한 touchdown zone을 식별하며 500ft(150m) 단위로 거리 정보를 제공한다. markings는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대칭으로 배치된 1개, 2개, 그리고 3개의 직사각형들로 구성된다(그림 2-3-1 참조). 양쪽 끝에 touchdown zone markings가 있는 활주로에서 thresholds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900ft(270m) 이내로 연장되는 markings는 삭제된다.

 

※ Pilot/Controller Glossary

 

TOUCHDOWN ZONE - threshold로부터 3,000ft 구간을 의미한다. 이 구간은 계기 접근을 위한 straight-in landing minimums를 개발 시 Touchdown Zone Elevation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f. Runway Side Stripe Marking. runway side stripes는 활주로의 가장자리를 나타낸다. 이는 활주로와 인접 지형(혹은 shoulders) 사이에 시각적 대비를 제공한다. side stripes는 활주로의 양 측면에 위치한 흰색 직선으로 구성된다.

 

g. Runway Shoulder Markings. runway side stripes를 보완하기 위해 runway shoulder markings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항공기가 사용할 수 없는 활주로 측면 근처 포장구역을 식별한다. runway shoulder stripes는 노란색이다. (그림 2-3-5 참조.)

h. Runway Threshold Markings. runway threshold markings는 두 가지 배치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활주로 중심선에 대칭으로 배치된 8개의 세로 선으로 구성되거나(그림 2-3-1 참조), 혹은 표 2-3-2의 활주로 폭과 관련된다. threshold marking은 착륙을 위해 사용 가능한 활주로의 시작 지점을 식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때에 따라 landing thresholdrelocated 되거나 displaced 될 수 있다.

1. Relocation of a Threshold. 때때로 공사, 유지보수, 혹은 그 외 활동으로 인해 thresholdrollout end of the runway쪽으로 relocate 해야 한다. (그림 2-3-3 참조.) thresholdrelocate 되면 approach end of a runway의 특정 부분이 폐쇄될 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 활주로의 길이도 짧아진다. 이 경우 공항 운영자는 폐쇄된 활주로 구간을 식별하는 NOTAM을 발행해야 한다(예를 들어, 10/28 W 900 CLSD). relocation의 기간이 몇 시간에서 몇 개월까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threshold를 식별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다. 한 가지 일반적인 방법은 10ft 너비의 흰색 threshold bar활주로 폭에 걸쳐 사용하는 것이다. 이전의 threshold와 새로운 threshold 사이에서는 runway lights가 켜지지 않는다. 허나 이 구간의 runway markings는 지워질 수도 있고 지워지지 않을 수도 있다.

 

2. Displaced Threshold. displaced threshold는 활주로에 대해 지정된 시작지점 이외의 장소에 위치하는 threshold이다. threshold의 displacement는 착륙에 사용할 수 있는 활주로 길이를 감소시킨다. 허나 양쪽 방향에서의 이륙을 위해서, 그리고 반대쪽 방향에서의 착륙을 위해서 displaced threshold의 뒷부분을 사용할 수는 있다. 10ft 너비의 흰색 threshold bar가 displaced threshold에서 활주로 폭에 걸쳐 배치된다. 활주로의 시작지점과 displaced threshold 사이에 흰색 화살표가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다. 흰색 화살촉 모양이 threshold bar 직전에 활주로 폭에 걸쳐 배치된다(그림 2-3-4 참조).

NOTE -

thresholdrelocation이나 displacement를 보고할 경우 공항 운영자는 이 두 가지를 혼동하는 언어를 피해야 한다.

(젭슨 차트의 displaced threshold 기호. 출처: Jeppesen Airway Manual)

 

i. Demarcation Bar. demarcation bar는 displaced threshold를 갖춘 활주로의 blast pad, stopway, 혹은 taxiway 경계를 식별한다. demarcation bar3ft(1m)의 폭을 가진다. 이는 활주로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노란색이다. (그림 2-3-6 참조.)

 

※ Pilot/Controller Glossary

 

BLAST PAD - 활주로 끝에 인접한 표면으로 이는 jet blast와 propeller wash의 부식 효과를 줄이기 위해 설치된다.

1. Chevrons. 이 markings는 이착륙 및 지상 활주에 사용할 수 없는 활주로 포장 구역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chevrons는 노란색이다. (그림 2-3-7 참조.)

j. Runway Threshold Bar. threshold barrelocate, 혹은 displace 되었을 경우 착륙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활주로 시단을 나타내기 위해 threshold bar가 사용된다. 10ft(3m) 너비의 threshold bar가 활주로 폭에 걸쳐 배치된다.

 
 

 

2-3-4. Taxiway Markings

 

a. General. 유도로가 활주로와 교차한다면 centerline markings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가 있어야 한다. 항공기가 사용할 수 없는 포장도로를 유도로로부터 분리하거나 유도로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taxiway edge markings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도로에 shoulder markings, ILS critical areas를 위한 holding position markings, 그리고 taxiway/taxiway intersection markings가 있을 수 있다.

 

REFERENCE -

AIM,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a.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 이 markings는 활주로 접근 시 항공기가 반드시 정지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 markings는 네 개의 노란색 선(두 개의 실선과 두 개의 점선)

instructor-pang.tistory.com

 

b. Taxiway Centerline.

 

1. Normal Centerline. taxiway centerline은 한 줄의 노란색 선으로 6인치(15cm) ~ 12인치(30cm)의 폭을 가진다. 이는 지정된 경로를 따라 지상 활주를 수행할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다. 조종사는 지상 활주 도중 이 선을 항공기 가운데에 두는 것이 좋다. 허taxiway centerline을 항공기 가운데에 둔다 해서 다른 항공기나 다른 물체와의 wingtip clearance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2. Enhanced Centerline. 일부 공항에서는 enhanced centerline이 사용된다. enhanced taxiway centerline marking은 normal taxiway centerline의 양 쪽에 평행한 노란색 점선들로 구성된다. enhanced taxiway centerline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으로부터 최대 150ft까지 연장된다. 이는 조종사에게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에 접근하고 있으니 정지할 것을 준비하라는 주의를 제공한다(, ATC로부터 활주로를 가로지르거나 진입하도록 승인받은 경우 제외). (그림 2-3-8 참조.)

c. Taxiway Edge Markings. taxiway edge markings는 유도로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보통 유도로의 가장자리가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항공기가 유도로의 가장자리를 통과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markings가 사용된다:

 

1. Continuous Markings. continuous markings는 두 줄의 노란색 직선으로 구성된다. 각 선은 최소 6인치(15cm)의 폭을 가지며 서로 6인치(15cm) 떨어져 있다. 이는 shoulder로부터, 혹은 항공기가 사용할 수 없는 포장도로로부터 유도로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2. Dashed Markings. 유도로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포장도로가 항공기를 위한 것이라면(예를 들어 apron) taxiwaytaxilane의 가장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dashed markings가 사용된다. 이는 두 줄의 노란색 점선으로 구성된다. 각 선은 최소 6인치(15cm)의 폭을 가지며 서로 6인치(15cm) 떨어져 있다. 이러한 선들의 길이는 15ft(4.5m)이며 25ft(7.5m)의 간격을 가진다. (그림 2-3-9 참조.)

(출처: PHAK)

d. Taxi Shoulder Markings. 물로 인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taxiways, holding bays, 그리고 aprons에 shoulders가 있을 수 있다. shoulders는 항공기를 위한 것이 아니므로 설령 튼튼해 보일지라도 항공기를 지탱하지 못할 수 있다. 보통 taxiway edge marking이 이 영역을 나타낸다. taxiway edge stripe의 어느 쪽이 항공기를 위한 영역인지 헷갈릴 수 있는 곳에서는 taxiway shoulder markings가 사용될 수 있다. taxiway shoulder markings는 노란색이다. (그림 2-3-10 참조.)

e. Surface Painted Taxiway Direction Signs. surface painted taxiway direction signs는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를 가진다. 이는 교차로에서 taxiway direction signs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혹은 이러한 signs를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배치된다. 이러한 markings는 중심선 근처에 위치하며 좌회전을 나타내는 기호는 taxiway centerline의 왼쪽에, 그리고 우회전을 나타내는 기호는 taxiway centerline의 오른쪽에 그려진다. (그림 2-3-11 참조.)

f. Surface Painted Location Signs. surface painted location signs는 검은색 바탕에 노란색 글씨를 가진다. 필요하다면 이러한 markings가 그려져서 유도로 옆에 위치한 location signs를 보완하며 항공기가 위치한 유도로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surface painted location signs는 중심선의 오른쪽에 그려진다. (그림 2-3-11 참조.)

 

g. Geographic Position Markings. geographic position markings는 공항의 SMGCS(Surface Movement Guidance Control System) plan에서 지정한 low visibility taxi routes를 따라 배치된다. 이는 저시정 운영 중인 항공기가 위치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저시정 운영은 RVR(runway visible range)1200ft(360m) 미만일 때 이루어진다. geographic position markings는 유도로 중심선의 왼쪽에 그려진다. (그림 2-3-12 참조.) 해당 marking은 검은색 바깥 고리, 흰색 안쪽 고리, 그리고 분홍색 원으로 구성된다. 아스팔트나 그 외 어두운 포장도로에 geographic position marking이 그려지는 경우에는 흰색 고리와 검은색 고리가 반전된다(, 바깥 고리가 흰색이고 안쪽 고리가 검은색임). geographic position marking은 번호, 혹은 번호 및 문자로 지정된다. 번호는 경로 상 markings의 순차적 위치를 나타낸다.

※ Pilot/Controller Glossary

 

HIGH SPEED TAXIWAY - 고속(최대 60노트)으로 이동하는 항공기의 경로를 규정하기 위해 lighting과 marking이 제공되는 긴 반경의 유도로. 이는 long radius exit나 turn-off taxiway라고도 불린다(ICAO term - RAPID EXIT TAXIWAY). High speed taxiway는 착륙 항공기가 활주로를 빠르게 개방하게 해주며 이로 인해 활주로 점유 시간이 단축된다.

(출처: Aviation Dictionary)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a.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 이 Markings는 활주로 접근 시 항공기가 반드시 정지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는 네 개의 노란색 선(두 개의 실선과 두 개의 점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선들은 6인치나 12인치의 간격을 가지며 유도로나 활주로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두 개의 실선은 항공기가 항상 정지해야 하는 방향에 있다(즉, 점선은 활주로쪽에 있음).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를 마주할 수 있는 위치는 세 곳이다.

 

1.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 on Taxiways. 활주로에 진입하기 위한 clearance가 발부되지 않았다면 이 markings는 항공기가 반드시 정지해야 하는 유도로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는 보통 활주로를 개방 항공기에게 활주로안전구역(RSA - runway safety area)의 경계를 알려준다.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는 그림 2-3-132-3-16에 나타난다. ATC로부터 “Hold short of Runway XX”라 지시받았다면 항공기의 어떤 부분도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지 않도록 정지해야 한다. 운영 중인 관제탑이 있는 공항의 활주로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ATCclearance 없이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을 수 없다. 운영 중인 관제탑이 없는 공항의 활주로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holding position markings를 넘기 전에 다른 항공기, 차량, 그리고 보행자와의 충분한 거리를 확인해야 한다. 활주로를 개방할 때 항공기의 모든 부분이 holding position markings를 넘기 전까지는 활주로를 개방한 것이 아니다.

NOTE -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는 활주로안전구역의 시작 지점을 나타낸다. 조종사는 clearance를 받기 위해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에서 반드시 정지해야 한다(운영 중인 관제탑이 있는 공항에서).

 

REFERENCE -

 

AIM, Paragraph 4-3-20, Exiting the Runway After Landing

 

 

4-3-20. Exiting the Runway After Landing

4-3-20. Exiting the Runway After Landing   착륙 후 taxi speed에 도달하였다면 다음 절차를 따라야 한다. a. 첫 번째로 이용할 수 있는 유도로를 통해, 혹은 ATC가 지시한 유도로를 통해 활주로를 신속하게 개

instructor-pang.tistory.com

 

2.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 on Runways. markings는 활주로에서 항공기가 정지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markingsLand And Hold Short Operations(그림 4-3-8 참조)와 Taxiing operations를 위한 활주로에 배치된다. 조종사는 taxiing operations를 위해 holding position markings에서 반드시 정지해야 한다(, ATC로부터 통과를 허가받은 경우 제외). 빨간색 배경에 흰 글씨가 새겨진 sign이 이러한 holding position markings 주위에 배치된다. (그림 2-3-14 참조.) holding position markings는 다른 활주로와의 교차지점 이전에, 혹은 특정 지점 이전에 위치한다. ATC로부터 “Cleared to land Runway XX, hold short of Runway YY” instructions를 받았고 이를 수락하였다면 holding position markings 이전에 Runway XX를 개방하거나, 혹은 Runway YY 이전에 holding position markings에서 정지해야 한다. 활주로 전체 길이를 사용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는 holding position markings를 무시할 수 있다.

3. Holding Position Markings on Taxiways Located in Runway Approach Areas. markings는 활주로 접근 영역이나 출항 영역에 위치한 유도로에서 항공기가 정지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는 항공기가 해당 활주로의 운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만들기 위함이다. markingsrunway approach/departure area holding position sign과 함께 배치된다. ATC“Hold short of Runway XX approach or Runway XX departure area”라고 지시하면 조종사는 항공기의 어떤 부분도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지 않도록 정지해야 한다. (Subparagraph 2-3-8b2, Runway Approach Area Holding Position Sign, 그리고 그림 2-3-15 참조.)

b. Holding Position Markings for Instrument Landing System(ILS). ILS critical areas를 위한 holding position markings는 유도로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노란색 실선(10ft 간격), 그리고 이 실선과 연결된 두 줄의 노란색 실선(2ft 간격)으로 구성된다. (그림 2-3-16 참조.) 빨간색 배경에 흰 글씨가 새겨진 sign이 이러한 hold position markings 주위에 위치한다. ILS critical area에서 정지하라는 ATC instructions를 받았다면 조종사는 항공기의 어떤 부분도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지 않도록 정지해야 한다. ATC clearance 없이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어서는 안 된다. 항공기의 모든 부분이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기 전까지는 ILS critical area를 개방한 것이 아니다.

REFERENCE -

AIM, Paragraph 1-1-9, Instrument Landing System(ILS)


c. Holding Position Markings for Intersecting Taxiways. intersecting taxiway를 위한 holding position markings는 유도로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한 줄의 점선으로 구성된다. (그림 2-3-17 참조.) 이는 ATCintersecting taxiway에서 항공기를 정지시키는 지점에 배치된다. ATC로부터 “Hold short of Taxiway XX”라 지시받았다면 조종사는 항공기의 어떤 부분도 holding position marking을 넘지 않도록 정지해야 한다. 만약 marking이 없다면 조종사는 intersecting taxiway의 다른 항공기와 충분한 간격이 유지되는 지점에서 항공기를 정지시켜야 한다.

d. Surface Painted Holding Position Signs. surface painted holding position signs는 빨간색 배경에 흰 글자로 되어있다. 이는 holding position에 위치하는 signs를 보완한다. 이러한 유형의 marking은 보통 유도로의 폭이 200ft(60m)보다 큰 경우에 사용된다. 이는 holding position marking 이전에, 그리고 유도로 중심선의 왼쪽에 그려진다. (그림 2-3-11 참조.)

2-3-6. Other Markings

 

a. Vehicle Roadway Markings. vehicle roadway markings는 항공기를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차량이 이동하기 위한, 혹은 교차하기 위한 경로를 규정할 경우 사용된다. 이러한 markings는 도로의 양쪽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흰색 직선, 그리고 이 가장자리 내에서 차선을 분리하는 점선으로 구성된다. 직선 대신 지퍼 마크를 사용하여 vehicle roadway의 가장자리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림 2-3-18 참조). 지퍼 마크에 대한 세부사항은 그림 2-3-19에 나타나 있다.

b. VOR Receiver Checkpoint Markings. VOR receiver checkpoint marking은 조종사가 항법 보조 장치 신호를 사용하여 항공기의 계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중심에 화살표를 가진 원으로 구성된다. 화살표는 checkpoint azimuth의 방향을 향해 정렬된다. 이러한 marking, 그리고 이와 연관된 signapron이나 유도로에 위치한다(, 항공기가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다른 항적이 과도하게 방해되어서는 안 되는 지점에 위치해야 함. 그림 2-3-10 참조).

NOTE -

signVOR station 식별자, 점검을 위한 course, “VOR check course”라는 단어, 그리고 DME 정보(해당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문자와 숫자는 검정색이고 배경은 노란색이다.

 

EXAMPLE -

DCA 176-356

VOR check course

DME XXX

 

c. Nonmovement Area Boundary Markings. markingsmovement area(, ATC가 관제하는 영역)를 나타낸다. markings는 노란색이며 movement areanonmovement area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nonmovement area boundary markings6인치(15cm) 너비로 된 두 개의 노란색 선(하나는 실선이고 하나는 점선)으로 구성된다. 실선은 nonmovement area쪽에 위치하고 점선은 movement area쪽에 위치한다. nonmovement boundary marking area는 그림 2-3-21에 나타나 있다.

(ATP: airport movement area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ATC의 승인이 필요하다. movement area에 aporns와 ramps는 포함되지 않는다.)

d. Markings and Lighting of Permanently Closed Runways and Taxiways. 영구적으로 폐쇄된 활주로와 유도로의 경우 등화의 회로가 끊긴다. runway threshold, runway designation, 그리고 touchdown markings가 지워지고 노란색 X가 활주로 양쪽 끝에서부터 1,000ft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림 2-3-22 참조.)

e. Temporarily Closed Runways and Taxiways. 활주로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활주로 양쪽 끝에만 노란색 X가 배치된다. (그림 2-3-22 참조.)

 

1. Subparagraph e, Temporarily Closed Runways and Taxiways에서 설명된 markings 대신 raised lighted yellow cross가 배치될 수도 있다.

 

2. 폐쇄 이유, 폐쇄 기간, 공항 배치, 그리고 공항 관제탑의 유무 및 운영 시간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시각적 표시가 없을 수 있다. 활주로 및 유도로 폐쇄 정보를 위해 조종사는 NOTAMsATIS(Automated Terminal Information System)를 확인해야 한다.

 

3. 일시적으로 폐쇄된 유도로는 보통 항공기의 어떤 부분도 통과할 수 없는 위험 구역으로 취급되며 바리케이드로 차단된다. 바리케이드를 대신하여 각 유도로의 입구마다 노란색 X가 설치될 수도 있다.

 

f. Helicopter Landing Areas. 그림 2-3-23에 나타난 markings는 공공 헬기장과 병원 헬기장에서의 이착륙 구역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markings“H”는 접근 방향과 일치하도록 맞춰진다. 그림 2-3-23은 폐쇄된 공항을 위한 markings도 나타낸다.

 

2-3-7. Airport Signs

 

공항에 설치된 signs에는 여섯 가지가 있다: mandatory instruction signs, location signs, direction signs, destination signs, information signs, 그리고 runway distance remaining signs. 이러한 signs의 특징과 용도는 paragraph 2-3-8 ~ 2-3-13에서 설명된다.

 

REFERENCE AC150/5340-18, Standards for Airport Sign Systems for Detailed Information on Airport Signs.

 

2-3-8. Mandatory Instruction Signs

 

a. mandatory instruction signs는 붉은색 배경에 흰색 글씨를 가진다. 이는 다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1. 활주로나 critical area의 입구.

 

2. 항공기 출입이 금지된 지역.

 

b. 일반적인 mandatory signs는 다음과 같다:

 

1. Runway Holding Position Sign. 이는 활주로를 교차하는 유도로의 holding position에, 혹은 다른 활주로를 교차하는 활주로의 holding position에 있다. sign에는 활주로의 명칭이 포함된다(그림 2-3-24 참조). sign의 활주로 번호는 각 runway threshold와 일치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15-33”Runway 15 threshold가 좌측에 있음을, 그리고 Runway 33 threshold가 우측에 있음을 나타낸다.

(a) 이륙 활주로의 시작 지점과 교차하는 유도로의 경우 이륙 활주로의 명칭만이 sign에 표시될 수도 있다(그림 2-3-25 참조).

(b) 두 활주로의 교차지점을 가로지르는 유도로의 경우 각 활주로와 정렬된 화살표가 두 활주로의 명칭과 함께 sign에 표시될 것이다(그림 2-3-26 참조). sign의 화살표는 활주로와의 대략적인 정렬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threshold 방향도 지시한다.

(c) runway holding position sign on taxiway는 유도로 포장면의 holding position markings 근처에 설치된다. runway holding position sign on a runway는 활주로 포장면의 holding position markings 근처에 설치된다(단, 해당 활주로가 보통 "Land, Hold Short" operations를 위해 사용되거나 유도로로 사용되는 경우). holding position markings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에서 설명된다.

 

2. Runway Approach Area Holding Position Sign. 일부 공항의 경우 접근 영역이나 출항 영역에 위치한 유도로에서 항공기를 정지시켜야 한다. 이는 해당 활주로에서 수행되는 운영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 경우 approach end of the runway의 명칭, “dash”(-), 그리고 “APCH”라는 문자를 갖춘 sign이 유도로의 대기 지점에 배치된다. holding position markings도 유도로 포장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sign의 예시가 그림 2-3-27에 나타난다. 이 예시에서 signRunway 15 approach 및/혹은 Runway 33 departure를 보호할 수 있다.

3. ILS Critical Area Holding Position Sign. 일부 공항의 경우 ILS 시스템 사용 시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에서 설명하는 대기 지점 이외의 위치에서 항공기를 대기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holding position sign에는 “ILS”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holding position marking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sign의 예시는 그림 2-3-28에 나타나 있다.

(ATP: 기상이 800-2 미만인 경우 ILS critical area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ATC에게 명확한 taxi instructions를 요청한다.)

 

4. No Entry Sign. sign은 항공기의 진입을 금지한다(그림 2-3-29 참조). 이는 보통 한쪽 방향으로만 사용되도록 설계된 유도로에 위치하거나, 혹은 차량용 도로가 유도로나 그 외 aircraft movement surface로 오인될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

NOTE -

Holding position signs는 조종사에게 holding position marking의 위치에 대한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다.

 

REFERENCE -

AIM Paragraph 2-3-5, Holding Position Markings

'AIM 2장: Aeronautical Lighting and etc > Section 3. Airport Marking Aids & Sig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6. Other Markings  (0) 2023.07.16
2-3-7. Airport Signs  (0) 2023.07.16
2-3-9. Location Signs  (0) 2023.07.16
2-3-10. Direction Signs  (0) 2023.07.16
2-3-11. Destination Signs  (0) 2023.07.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