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의 빨간색 글씨는 ATP 출제 문제들을 반영합니다.

 

15.1 Pressure Systems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2) Atmosphere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8) Wind and Currents

 

15.2 Weather Fronts

 

2024.02.22 - [ATP(2018)/15: AVIATION WEATHER] - 15.2 Weather Fronts

 

15.3 Coriolis Force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8) Wind and Currents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3) Coriolis Force

 

15.4 Clouds and Fog

 

2023.02.02 - [Instrument Flying Handbook(2012)/10: IFR Flight] - (9) Instrument Weather Flying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9) Atmospheric Stability

 

15.5 Temperature Changes and Stability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9) Atmospheric Stability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8) Wind and Currents

 

15.6 Temperature Inversion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9) Atmospheric Stability

 

15.7 Density, Pressure, and Corrected Altitude

 

2023.06.12 - [PHAK(2023)/8: Flight Instruments] - (2) Pitot-Static Flight Instruments

2023.01.02 - [Instrument Flying Handbook(2012)/4: Aerodynamic Factors] - (3) Atmosphere

 

15.8 Thunderstorms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11) Fronts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9) Atmospheric Stability

2023.02.02 - [Instrument Flying Handbook(2012)/10: IFR Flight] - (9) Instrument Weather Flying

2023.12.10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1. Weather Radar Services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26. Thunderstorms

 

15.9 Icing

 

2023.04.19 - [PHAK(2023)/12: Weather Theory] - (9) Atmospheric Stability

2023.02.02 - [Instrument Flying Handbook(2012)/10: IFR Flight] - (9) Instrument Weather Flying

2023.05.30 - [PHAK(2023)/7: Aircraft Systems] - (20) Anti-Ice and Deice Systems

 

15.10 High-Altitude Weather

 

2024.02.21 - [ATP(2018)/15: AVIATION WEATHER] - 15.10 High-Altitude Weather

 

15.11 Arctic Weather

 

2024.02.22 - [ATP(2018)/15: AVIATION WEATHER] - 15.11 Arctic Weather

 

15.12 Tropical Weather

 

2024.02.22 - [ATP(2018)/15: AVIATION WEATHER] - 15.12 TROPICAL WEATHER

'ATP(2018) > 15: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2 Weather Fronts  (0) 2024.02.22
15.10 High-Altitude Weather  (0) 2024.02.22
15.11 Arctic Weather  (0) 2024.02.22
15.12 Tropical Weather  (0) 2024.02.22

15.2 Weather Fronts

 

1. 정체전선(stationary front)에서 지상풍은 전선 영역과 평행하게 흐르는 경향이 있다.

 

2. 항공기가 전선을 통과한 후 차가운 공기로 진입하면 보통 대기압이 증가한다.

 

3. 전선을 가로질러 부는 상층풍은 보통 전선의 빠른 움직임을 유발한다. 바람이 전선과 평행하게 부는 경우에는 움직임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4. 보통 느리게 움직이는 작은 한랭전선(cold fronts)이나 정체전선을 따라 frontal waves와 low-pressure areas가 형성된다.

 

5. 전선 소멸(frontolysis)이란 서로 인접한 기단들이 변화하여(즉, 동등해져서) 전선이 소멸하는 과정을 말한다.

 

6. 불안정선(instability line)이란 대류 활동이 존재하는 비전선성(nonfrontal) 선이나 띠를 의미한다. 이러한 대류 활동이 뇌우인 경우 이를 스콜선(squall line)이라 부른다.

 

7. 건조선(dry line. 이는 dew point front라고도 불림)의 양쪽에서는 이슬점(습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공기 밀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습도의 차이를 제외하곤 양쪽 기단 사이의 차이가 거의 없다. 야간 및 이른 아침에 습한 기단에서는 안개와 낮은 구름이 우세하다. 반면 건조한 기단에서는 맑은 하늘이 일반적이다.

 

8. 돌풍 전선(gust front)은 이와 관련된 강수보다 훨씬 앞서(최대 15마일) 이동한다. 이는 폭풍이 다가오기 전에 지상풍을 급격하게 변화시킨다.

 

9. 상층풍이 전선을 가로질러 불 경우 전선이 상층풍과 함께 움직이리라 예상할 수 있다.

 

a. 전선면이 얕을 경우 광범위한 구름 및 강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10. 빠르게 이동하는 가파른 한랭전선은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 올린다.

 

a.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대체하기 때문에 앞쪽 가장자리 부근의 경사가 가파르다.

 

11. 이슬이 맺힌 뒤에 언 것을 언이슬(frozen dew)이라 한다. 반면 이슬점이 어는점보다 낮아 수증기가 승화하여 생긴 것을 서리(frost)라 한다. 언이슬은 서리와 쉽게 구별된다. 언이슬은 단단하고 투명한 반면 서리는 하얗고 불투명하다.

'ATP(2018) > 15: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ATION WEATHER  (0) 2024.02.22
15.10 High-Altitude Weather  (0) 2024.02.22
15.11 Arctic Weather  (0) 2024.02.22
15.12 Tropical Weather  (0) 2024.02.22

15.10 High-Altitude Weather

 

1. 대류권(troposphere)은 지표면으로부터 평균 7마일 고도까지의 층이다. 이는 고도 증가에 따라 기온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대류권계면(tropopause)은 대류권과 성층권(stratosphere)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얇은 층이다.

 

a. 대류권계면은 기온 감율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b. 대류권계면의 고도는 약 20,000ft(극지방의 경우)에서 65,000ft(적도지방의 경우)까지 다양하다. 대류권계면의 고도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높다.

 

c. 대류권계면의 자유 공기 온도가 56.5°C일 때 고도는 약 36,000ft이다.

1) 대류권계면의 온도와 고도는 항상 변화한다. 허나 온도 범위는 보통 –55°C ~ –65°C이다.

 

3. 대류권계면 근처에서 온도와 바람이 크게 변화하며 이 근처에서 maximum winds와 wind shear zones가 발생한다.

 

4. 제트기류(jet stream)와 관련된 최대 풍속은 jet core의 polar side에 위치한 대류권계면 틈에서 발생한다.

(CAT: Clear Air Turbulence)

5. 제트기류는 보통 대류권계면을 따라 기온 경도가 가장 심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6. 제트기류는 보통 지표면 저기압과 전선의 북쪽에 위치한다.

 

a. 제트기류는 50knots 이상의 속도로 부는 고고도 흐름이다.

1) 제트기류와 관련된 청천난기류(clear air turbulence)는 보통 대류권계면 근처에서 발견된다.

2) jet stream cirrus shield의 중요한 점은 난기류와의 연관성이다. 광범위한 권운은 종종 상층 저기압과 지표면 저기압의 중심기압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중심기압 감소는 가장 큰 난기류를 생성한다.

3) jet core로부터 바깥으로 향할수록 제트기류의 풍속이 감소한다. 풍속이 감속하는 비율은 equatorial side보다 polar side에서 더 크다.

4) wind shear의 강도는 equatorial side보다 polar side에서 더 크다.

5) 제트기류는 보통 부메랑 모양이다. 등온선 간격이 서로 가깝다는 것은 높은 풍속을 의미한다.

 

b. 세 가지 제트기류가 있다:

1) polar jet streamcold polar air masswarm tropical air mass 사이의 영역과, 혹은 polar front와 관련되어 있다.

2) subtropical jet stream은 열대 위도의 북쪽에 위치하는 제트기류이다.

3) polar night jet stream은 겨울철에 북극권 한계선 근처 성층권에서 발생한다.

 

c. 공기가 equatorial side에서 상승하면서 jet core 주위의 나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7. 지표면 저기압은 보통 제트기류의 남쪽에서 발달한다. 그리고 저기압의 중심기압이 낮아질수록 제트기류 쪽으로 더 가까이 이동한다.

 

a. 저기압이 폐색된 경우 이는 보통 제트기류의 북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트기류는 폐색 지점 근처에서 전선 시스템을 가로지른다.

 

8. 다량의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제트기류의 equatorial side에서 권운(cirrus clouds)이 형성된다.

 

9. 100kt jet stream core의 polar side에서 강한 wind shear가 예상될 수 있다.

 

10. 중위도에서 제트기류의 풍속은 보통 여름보다 겨울에 더 강하다.

'ATP(2018) > 15: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ATION WEATHER  (0) 2024.02.22
15.2 Weather Fronts  (0) 2024.02.22
15.11 Arctic Weather  (0) 2024.02.22
15.12 Tropical Weather  (0) 2024.02.22

15.11 Arctic Weather

 

1. 북극 지역과 아열대 지역의 기상 시스템들은 보통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다. 북위 약 30도에 위치하는 고압대는 지표면의 공기를 북쪽과 남쪽으로 밀어낸다. 남쪽으로 향하는 공기는 코리올리힘에 의해 편향되어 아열대 북동풍(무역풍)을 형성한다.

 

2. 북극에서 여름 뇌우는 보통 극동풍(polar easterlies)을 타고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이동한다. 이는 중위도에서의 일반적 움직임과는 반대이다.

 

3. 북극에서 눈이나 얼음으로 덮인 표면 위에 균일한 두께의 구름층이 놓일 경우 화이트아웃(whiteout)이라 불리는 시정 제한 현상이 발생한다.

 

a. 태양의 평행 광선(parallel ray)이 구름층을 통과할 때 이는 산란되어 여러 각도로 눈 표면에 부딪힌다. 산란된 빛이 눈과 구름 사이에서 수없이 반사되어 모든 그림자들을 없앤다.

 

b. 화이트아웃의 결과 깊이 감각이 상실된다. 건물, 사람, 그리고 어두운 색의 물체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며 수평선이 사라진다.

 

c. 만년설 상공에서 저공비행을 하거나, 혹은 눈 위에 착륙하는 것이 위험해진다.

 

d. 화이트아웃으로 인하여 많은 사고가 발생해왔다.

'ATP(2018) > 15: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ATION WEATHER  (0) 2024.02.22
15.2 Weather Fronts  (0) 2024.02.22
15.10 High-Altitude Weather  (0) 2024.02.22
15.12 Tropical Weather  (0) 2024.02.22

15.12 Tropical Weather

 

1. 열대 저기압(tropical cyclone)은 열대 해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저기압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a. 열대 저기압은 1분 평균 풍속에 따라 강도가 분류된다.

 

b. 이러한 폭풍의 돌풍(gust)은 1분 평균 풍속보다 최대 50% 높을 수 있다.

 

2. 열대 저기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a. 열대저압부(Tropical Depression) – 1분 평균 풍속이 최대 33knots(64km/h) 이하인 열대 저기압.

 

b. 열대폭풍(Tropical Storm) - 1분 평균 풍속이 34 ~ 63knots(65 ~ 119km/h)인 열대 저기압.

 

c. 태풍(Hurricane, Cyclone, 혹은 Typhoon) - 1분 평균 풍속이 64knots(120km/h) 이상인 열대 저기압.

 

국내에서는 33knots 이하의 열대 저기압을 열대저압부라 부르고 34knots 이상의 열대 저기압을 모두 태풍이라 부른다.

 

3. 강력한 열대 저기압의 이름은 지역마다 다르다.

 

a. 대서양과 동부 태평양에서는 “hurricane”이라 불린다.

 

b. 서태평양에서는 “typhoon”이라 불린다.

 

c. 호주 근처와 인도양에서는 “cyclone”이라 불린다.

 

4. 카리브해나 멕시코만에 위치하는 hurricane은 저위도에서 북서쪽으로 이동한다.

 

a. hurricane이 중위도로 이동함에 따라 편서풍에 의하여 북동쪽으로 휘어진다.

'ATP(2018) > 15: AVIATION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IATION WEATHER  (0) 2024.02.22
15.2 Weather Fronts  (0) 2024.02.22
15.10 High-Altitude Weather  (0) 2024.02.22
15.11 Arctic Weather  (0) 2024.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