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의 빨간색 글씨는 ATP 출제 문제들을 반영합니다.

 

16.1 Pilot Weather Report (PIREP)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8. Pilot Weather Reports (PIREPs)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21. PIREPs Relating to Turbulence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8. Pilot Weather Reports (PIREPs)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9. PIREPs Relating to Airframe Icing

 

16.2 In-Flight Weather Advisories

 

2024.01.10 -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2017)/4: Approaches] - (3) Weather Considerations

 

16.3 Recorded Route

 

2024.01.10 -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2017)/4: Approaches] - (3) Weather Considerations

 

16.4 Winds and Temperatures Aloft Forecasts (FB)

 

2023.12.05 - [PHAK(2023)/13: Aviation Weather Services] - (6) Aviation Forecasts

 

16.5 Aviation Routine Weather Report (METAR)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29.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ICAO) Weather Formats

2023.12.13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0. Weather Observing Programs

 

16.6 Terminal Aerodrome Forecast (TAF)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29.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ICAO) Weather Formats

 

16.7 Miscellaneous Charts and Forecasts

 

2023.12.05 - [PHAK(2023)/13: Aviation Weather Services] - (6) Aviation Forecasts

2023.12.05 - [PHAK(2023)/13: Aviation Weather Services] - (7) Weather Charts

2023.12.13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6. Inflight Aviation Weather Advisories

2023.12.14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 National Weather Service Aviation Weather Service Program

 

16.8 Constant Pressure Analysis Charts

 

2024.02.15 - [ATP(2018)/16: 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 16.8 Constant Pressure Analysis Charts

 

16.9 AIRMETs and SIGMETs

 

2023.12.13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8. Inflight Weather Advisory Broadcasts

2023.12.13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6. Inflight Aviation Weather Advisories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19. PIREPs Relating to Airframe Icing

2023.12.05 - [PHAK(2023)/13: Aviation Weather Services] - (6) Aviation Forecasts

2023.12.05 - [PHAK(2023)/13: Aviation Weather Services] - (7) Weather Charts

 

16.10 Flight Information Services - Broadcast

 

2023.12.13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9. Flight Information Services(FIS)

2023.12.05 - [PHAK(2023)/13: Aviation Weather Services] - (9) Electronic Flight Displays(EFD)/Multi-Function Display(MFD) Weather

 

16.11 Terminal Weather Information for Pilot System (TWIP)

 

2023.12.08 - [AIM 7장: Safety of Flight/Section 1. Meteorology] - 7-1-24. Microbursts

16.8 Constant Pressure Analysis Charts

 

1. constant pressure analysis chart는 특정 경로를 따라 관측된 상층 온도, 바람, 그리고 온도/이슬점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height contours는 상층의 고기압(highs), 저기압(lows), 기압골(troughs), 그리고 기압마루(ridges)를 나타낸다. 이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a. 기압계 중심의 높이는 pressure system symbol의 아래에 세 자리 코드로 표시된다.

1) 500mb chart와 300mb chart의 경우 코드의 뒤에 0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 912는 9,120m MSL을 의미한다.

2) 높이는 미터로 표시된다.

3) 200mb chart의 경우 코드의 앞에 1, 그리고 코드의 뒤에 0을 추가한다. 예를 들어 21012,100m MSL을 의미한다.

 

b. height contours를 해석하여 3차원의 그림을 만들 수 있다.

 

3. 등풍속선(isotachs)300mb chart200mb chart에서만 표시된다.

 

a. 이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b. 이는 동일한 풍속을 선으로 연결한 것이다.

 

c. 강풍 지역은 빗금으로 표시된다(70 ~ 110kt).

 

d. 빗금영역 내 빈 지역은 110 ~ 150kt를 나타낸다.

 

e. 제트기류 경로를 해석하기 위해선 50kt 이상의 바람을 찾아야 한다.

 

f. 수직으로 인접한 constant pressure chart들을 비교함으로써 vertical wind shear를 결정할 수 있다.

1) 난기류 발생 확률에 중요한 vertical wind shear는 1,000ft 당 5kt 이상이다.

 

g. 등풍속선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horizontal wind shear를 결정할 수 있다.

1) 난기류 발생 확률에 중요한 horizontal wind shear는 150NM 당 18kt 이상이다.

 

4. 500mb chart, 300mb chart, 그리고 200mb chart를 비교하여 저기압 영역의 수직 발달을 결정한다.

 

a. 고도 증가하여도 거의 기울어지지 않는, 그리고 상층 바람으로 둘러싸인 저기압은 느리게 움직이는 폭풍을 식별한다. 이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구름, 강수, 그리고 악기상 조건을 유발할 수 있다.

 

5. 다양한 고도에 대한 온도, 온도/이슬점 차이, 그리고 상층 바람이 constant pressure charts에 표시된다. 이는 진고도가 아닌 기압고도로 표시된다는 점을 유의하라.

 

a. 500mb (18,000ft)

b. 300mb (30,000ft)

c. 200mb (39,000ft)

 

6. 라디오존데를 보내는 기상 관측소가 차트에 표시되어 있으며 다음 정보를 제공한다.

 

a. 온도

b. 온도/이슬점 차이

c. 바람

d. pressure surface의 높이

e. 지난 12시간 동안의 pressure surface 높이 변화

f. 예시:

 

※ 중간 고도에 대한 정보는 보간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FL 240나 FL 350).

 

7. 데이터가 희박한 지역의 경우 위성 관측 자료와 항공기 관측 자료를 사용한다.

 

a. 위성 관측이 사용된 지역은 차트에 별 모양으로 표시된다.

 

b. 항공기 관측이 사용된 지역은 차트에 사각형 모양으로 표시된다.

'ATP(2018) > 16: 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0) 2024.02.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