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rses

 

Traditional Courses

 

holding fix를 향하여 승인받은 후 “cleared...approach”를 받은 경우 보통 항공기에 새로운 경로가 발부되지 않는다. 비록 항공기가 holding fix에 도달하기 전에 접근 승인이 발부되었다 하여도 조종사는 마지막으로 할당받은 경로인 holding fix를 거쳐 진행해야 한다. 만약 접근 차트에 feeder route가 게재되어 있다면 해당 fix와 연관된 feeder route를 거쳐 IAF로 진행해야 한다. 차트에 게재된 off-airway(feeder) routes(en route structure부터 IAF로 이어지는 경로)는 접근 승인 발부 시 approach clearance의 일부이다.

 

holding fix 이전에 위치한 fix로부터 IAF로 향하는 feeder route가 시작되며 접근 승인이 발부되었다면 조종사는 feeder route를 경유하여 접근을 수행해야 한다. 만약 IAFholding fix로 향하는 비행경로 이전에 위치한다면 조종사는 IAF에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접근을 시작해야 한다.

 

만약 IAF로 직접 향하는 비행경로를 원할 경우 관제사는 “direct,” “proceed direct,” 혹은 조종사가 알아들을 수 있는 유사한 단어를 포함하여 명시해야 한다. clearance가 불확실한 경우 조종사는 ATC에게 즉시 문의해야 한다.

 

설령 접근 보조시설의 구성 요소가 작동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다 하여도 차트의 계기접근 명칭이 접근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관제사는 approach clearance 발부 시 차트의 접근 명칭과 함께 작동하지 않는, 혹은 신뢰할 수 없는 접근 보조 시설 요소를 반드시 알려야 한다. (예시: “Cleared ILS RWY 4, glideslope unusable.”)

 

Area Navigation Courses

 

RNAV(GPS) approach procedures는 항공기에 탑재된 항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비행하기 때문에 자체적인 tracking issues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coupled approaches, 혹은 manual로 비행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항법 시스템 코딩은 접근 및 실패접근에 대한 waypoint(WP) sequencing을 포함하는 procedure design을 기반으로 한다. procedure designWPfly-over(FO)인지, 혹은 fly-by(FB)인지를 나타내며 각각에 대한 적절한 안내를 제공한다. FB WP는 다음 비행구간에서의 overshoot을 방지하기 위하여 turn anticipation을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FO WPWP 상공을 지나기 전까지는 선회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WP 상공 통과 후에는 다음 비행구간을 향하여 intercept maneuver를 수행하도록, 혹은 다음 WP를 향하여 직진 경로를 비행하도록 만든다.

 

approach waypoints는 보통 FB WP이다(, MAWP(missed approach waypoint)MAHWP(missed approach holding waypoint 제외). 그림 4-9plan view를 보면 FB WP는 네 개이지만 FO WP(PRINO)는 하나이다. 특정 RNAV WP를 향해 수동으로 비행하는 경우 조종사는 부드러운 전환을 위하여 FB WP에서 turn anticipation을 수행해야 한다. 허나 FO WP의 경우에는 WP를 통과하기 전까지 선회를 수행해서는 안 된다.

접근 절차 도중 WP의 순서가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WP가 데이터베이스에 FB WPFO WP로 모두 코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AF로 사용되는 WP는 접근 도중 FB WP로 코딩되며 만약 해당 WPMAP에 대한 MAWP 역할도 수행한다면 FO WP로도 코딩될 수 있다. 이는 계기 접근 절차를 직접 작성하거나 수정하지 말고 FMS로부터 로드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