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off Checks

 

조종사는 takeoff roll을 시작하기 전에 활주로에 표시된 runway numbers가 나침반, 그리고 heading indicators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최대 이륙 출력을 적용하였을 때 마지막으로 점검해야 할 사항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문 걸쇠와 창문들이 닫혀있는가?

2. 측풍을 처리할 수 있도록 조종간을 위치시켰는가?

3. 출력이 정확한가?

4. 엔진 rpm이 정상인가?

5. 엔진이 부드러운가?

6. 엔진 계기 지시가 정상이고 green range에 있는가?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Taxiing  (0) 2022.11.24
(8) Before-Takeoff Check  (0) 2022.11.24
(10) After-Landing  (0) 2022.11.24
(11) Clear of Runway and Stopped  (0) 2022.11.24
(12) Parking  (0) 2022.11.24

After-Landing

 

after-landing roll 도중 착륙 활주로를 벗어나기 전에 비행기는 normal taxi speed로 점차 감속되어야 한다. 더 빠른 속도에서의 상당한 선회는 landing gear, 타이어, 브레이크, 혹은 비행기의 구조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landing roll 도중 비행기 조종에 완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비행기가 runway holding position markings 너머에서 완전히 멈춘 이후에만 after-landing checklist를 수행해야 한다. 비행기가 움직이는 동안 주의를 제대로 분산시키기 못하여 사고가 발생한 적이 많았다(실수로 잘못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플랩 대신 landing gear를 올림). 그러나 landing rollout 도중 특정한 after-landing 항목들을 수행하도록 제조업체에서 권장하는 경우에는 이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hort-field landing을 수행할 경우 제동의 개선을 위해 rollout 도중 플랩을 올리는 것을 제조업체가 권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종사는 플랩을 올리기 전에 플랩 스위치를 확실히 식별해야 한다.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Before-Takeoff Check  (0) 2022.11.24
(9) Takeoff Checks  (0) 2022.11.24
(11) Clear of Runway and Stopped  (0) 2022.11.24
(12) Parking  (0) 2022.11.24
(13) Engine Shutdown  (0) 2022.11.24

Clear of Runway and Stopped

 

비행기마다 그 구성과 장비가 다르기 때문에 AFM/POHafter-landing checklist를 사용해야 한다. 일부 항목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1. Power AFM/POH의 값으로 설정한다(예를 들어 throttle 1,000rpm, propeller full forward, mixture leaned).

 

2. Fuel 탱크의 전환, 그리고 fuel pump off가 필요할 수 있다.

 

3. Flaps retracted position으로 설정.

 

4. Cowl flaps 온도 조건에 따라 열거나 닫을 수 있음.

 

5. Trim neutral, 혹은 takeoff position으로 재설정.

 

6. Lights 필요하지 않은 경우 끌 수 있음(예를 들어 strobe lights).

 

7. Avionics 도착한 공항의 taxi 절차에 맞춰 주파수와 트랜스폰더 설정.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Takeoff Checks  (0) 2022.11.24
(10) After-Landing  (0) 2022.11.24
(12) Parking  (0) 2022.11.24
(13) Engine Shutdown  (0) 2022.11.24
(14) Post-Flight  (0) 2022.11.24

Parking

 

조종사는 다른 비행기의 프로펠러, 혹은 jet blast가 비행기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와 방향을 선택해야 한다(지정된 구역에 주기되는 경우 제외). 가능하다면 비행기는 현재의 바람, 혹은 예보된 바람을 향해서 주기되어야 한다. 공항의 ramp area에는 종종 비행기 tie down이 위치한다. 이는 바람과 정렬될 수 있거나,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원하는 방향에서 멈춘 이후 비행기의 nosewheel, 혹은 tailwheel이 똑바르게 만들어질 정도로 충분히 직진해야 한다.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After-Landing  (0) 2022.11.24
(11) Clear of Runway and Stopped  (0) 2022.11.24
(13) Engine Shutdown  (0) 2022.11.24
(14) Post-Flight  (0) 2022.11.24
(15) Chapter Summary  (0) 2022.11.24

 

Engine Shutdown

 

엔진을 끄고 비행기를 고정하기 위해 조종사는 비행기의 AFM/POH shutdown checklist를 사용해야 한다. 중요한 항목들로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1. Parking Brake ON으로 설정.

2. Throttle IDLE, 혹은 1,000rpm으로 설정.

3. 터보차저가 장착된 경우 제조업체의 spool down 절차를 준수한다.

4. Magneto Switch Test idle rpm에서 OFF position일 때 접지가 올바른지 점검.

5. Propeller control 만약 장착한 경우 HIGH rpm으로 설정.

6. Avionics OFF로 설정.

7. Alternator OFF로 설정.

8. Mixture IDLE CUTOFF로 설정.

9. Magneto Switch 엔진이 멈추었다면 점화 스위치를 OFF로 설정.

10. 고임목 설치(AFM/POH에 따라 parking brake 해제)

11. Master Switch OFF로 설정.

12. Secure control locksanti-theft security locks를 설치.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After-Landing  (0) 2022.11.24
(11) Clear of Runway and Stopped  (0) 2022.11.24
(12) Parking  (0) 2022.11.24
(14) Post-Flight  (0) 2022.11.24
(15) Chapter Summary  (0) 2022.11.24

Post-Flight

 

엔진이 꺼진 다음 비행기가 고정되기 전까지는 비행이 종료된 것이 아니다. 조종사는 이 단계를 모든 비행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해야 한다.

 

Securing and Servicing

 

엔진이 정지하고 승객이 하차한 이후 조종사는 post-flight inspection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에는 항공기의 일반적인 상태 점검을 위해 주변을 한 바퀴 둘러보는 것을 포함한다. cowling 주변에서 오일, 혹은 연료의 기다란 흔적이 있는지, 그리고 oil breather 주변에서 과도한 오일 배출이 있는지 검사한다. 날개 아래, 그리고 그 외의 연료 탱크 위치에서 연료 얼룩이 있는지 검사한다. landing gear와 타이어에 손상이 있는지, 그리고 브레이크에서 유압 용액이 누출되었는지 검사한다. cowling inlets에 이물질이 있는지 검사한다.

 

오일 양을 점검하고 그 양을 AFM/POH 값으로 채워야 한다. 비행기가 바로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연료가 추가되어야 한다. 비행기가 더는 사용되지 않을 경우 연료 탱크를 가득 채우는 것이 좋다. 이는 탱크 내부에 응결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다른 비행이 계획된 경우 해당하는 비행 계획 요건에 따라 연료 탱크를 채워야 한다.

 

항공기를 격납고에 넣거나, 혹은 tie down 해야 한다. 또한 flight controls를 고정하고 보안장치를 해두어야 한다. tie down의 유형은 체인에서 해진 밧줄에 이르기까지 크게 다를 수 있다. 체인은 유연하지 않기 때문에 팽팽하게 조이지 않아야 한다. 이는 비행기가 약간 움직이게 할 수 있으나 기체의 구조적 손상을 방지한다. 로프는 유연하며 tie down rings에 적절하게 고정될 수 있다. 비행기의 안전과 보안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pitot tube covers, cowling inlet covers, rudder gust locks, window sunscreens, 그리고 propeller security locks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본다.

 

격납고에 넣는다 하여도 비행기에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격납고, 다른 항공기, 혹은 차량으로부터 충돌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비행기를 격납고에 넣은 후 손상이 없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After-Landing  (0) 2022.11.24
(11) Clear of Runway and Stopped  (0) 2022.11.24
(12) Parking  (0) 2022.11.24
(13) Engine Shutdown  (0) 2022.11.24
(15) Chapter Summary  (0) 2022.11.24

Chapter Summary

 

이 장에서는 비행기의 감항, 비행 전 육안 점검, riskpilot-available resources의 관리, 안전한 지상 운영, 그리고 AFM/POH와 체크리스트의 준수 및 사용에 중점을 둔다. 조종사는 비행기가 안전한 상태에 있는지, 그리고 14 CFR part 91의 모든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비행 안전에는 적절한 비행 준비, 그리고 예상되는 조건에 연관된 risk를 관리하는 경험을 포함한다는 것을 조종사는 인지해야 한다. 조종사가 PIC로서 해야 할 역할을 충실하게 평가할 경우 risk의 효율적이고 계속적인 평가 및 완화, 그리고 resources의 적절한 활용은 큰 도움이 된다.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After-Landing  (0) 2022.11.24
(11) Clear of Runway and Stopped  (0) 2022.11.24
(12) Parking  (0) 2022.11.24
(13) Engine Shutdown  (0) 2022.11.24
(14) Post-Flight  (0) 2022.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