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14. Flying in Flat Light, Brown Out Conditions, and White Out Conditions

 

a. Flat Light. flat light“sector or partial white out”이라고도 불리는 착시 현상이다. 이는 “white out”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 시야의 피사계 심도(depth-of-field)와 대비를 잃게 만든다. flat light는 보통 시각 참조물들을 방해하는 overcast sky와 함께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은 주로 눈이 덮인 지역에서 발생한다. 허나 먼지, 모래, 갯벌, 혹은 물 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flat light는 지형의 특징을 완전히 모호하게 만들어 거리 및 근접 속도를 구별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조종사는 수평비행을 수행중임에도 상승/하강하는 착각을 받을 수 있다. 허나 올바른 판단력과 적절한 훈련 및 계획이 있다면 flat light 상황에서도 항공기를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다.

 

b. Brown Out. brownout(혹은 brown-out)은 공기 중의 먼지나 모래로 인하여 비행 시정이 제한되는 현상이다. brownout이 발생할 경우 조종사는 지상 근처에서 항공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외부 시각 참조물을 볼 수 없다. 이는 공간정위상실 및 상황 인식 상실을 유발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1. 다음은 brow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rotor disk 부하, rotor 형태, 토양 구성 성분, 바람, 접근 속도, 그리고 접근 각도.

 

2. brownout 현상은 먼지, 미세 먼지, 모래, 혹은 건조한 지형에서 이착륙 도중인 헬리콥터의 사고를 발생시킨다. 지상 근처에서 헬리콥터의 rotor downwash에 의해 발생하는 눈부신 먼지 구름은 비행 안전 위험을 초래한다.

 

3. 이는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착륙 접근 중인 헬리콥터가 경험하는 위험 현상이다. 모래나 먼지 입자들이 rotor outwash에 의해 쓸려나가 주변 지형에 대한 조종사의 시야를 흐리게 만든다. 안전한 착륙을 위해선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시각적 단서들이 필요하므로 이는 특히 위험하다.

 

4. 모래와 먼지가 날리면 수평선이 기울어진 것처럼 착각될 수 있다. 계기를 참조하지 않는 조종사는 본능적으로 false horizon을 기준으로 항공기의 수평을 맞추려 시도한다. 이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헬리콥터가 level hover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선회하는 것처럼 착각될 수 있다. 지상 근처에서 hovering 도중 조종사가 잘못된 조작을 수행할 경우 이 또한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야간 착륙 도중 항공기 등화가 brownout cloud를 비출 경우 시각적 착시가 개선될 수 있다.

 

c. White out. white out은 사람이 하얀 빛에 휩싸일 때 발생한다. 이러한 빛은 흩날리는 눈, 먼지, 모래, 혹은 물에 둘러싸일 때 발생한다. 그림자, 수평선, 혹은 구름이 보이지 않으며 피사계 심도와 방향정위가 모두 사라진다. white out은 시각 참조물이 없다는 점에서 심각한 상황이다. white out 도중에는 비행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flat light 상황은 매우 빠르게 white out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기 조건들은 매우 은밀하게 퍼진다. white out은 여러 항공 사고의 원인이었다.

 

d. Self Induced White Out. 이는 보통 헬리콥터가 눈 덮인 지역을 이착륙할 때 발생한다. rotor down wash는 입자들을 들어 올린 다음 이를 다시 순환시킨다. 그 영향의 강도는 지표면에 가해지는 빛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elf induced white out은 화창하고 밝은 날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단서들을 완전히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즉각적인 시력 손실에 대비하지 않을 경우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계획을 잘한다고 하여 flat lightwhite out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e. white out 도중에는 절대 이륙하지 않는다.

 

1. flat light 도중 이륙은 가능하나 해당 지점으로 돌아오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이륙 도중 참조점이 있는지 확인한다. 출항 참조점이 시야에 들어오기 전까지는 이륙 참조점을 놓치지 않는다. 출항 참조점이 보이지 않는다면 이륙 참조점으로 돌아간다.

 

2. flat light는 스키 타는 사람에겐 흔한 현상이다. 시각적 대비의 부족과 피사계 심도의 손실을 보완하는 한 가지 방법은 호박색 렌즈(blue blockers라고도 불림)를 착용하는 것이다. 허나 이것이 모든 조종사에게 이상적인 것은 아니다. 개인적인 요소들(나이, 빛에 대한 민감도, 그리고 주변 조명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3. 모든 시각 참조점들이 사라졌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a) 조종실 계기를 믿는다.

 

(b) 180도 선회한 다음 외부 참조물을 찾는다.

 

(c) 무엇보다도 항공기를 제어한다.

 

f. Landing in Low Light Conditions. 조도가 낮은 환경에 착륙하는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경로의 각 구간을 따라 놓인 checkpoints와 더불어 중간 참조점들을 찾는다. 주변 조도가 낮아질수록 더 많은 참조점들을 사용해야 한다.

 

g. Airport Landings.

 

1. 깊이 감각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특징들을 공항이나 접근 경로 주변에서 찾는다. 건물, 타워, 차량, 혹은 다른 항공기가 여기에 유용하다.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감각뿐만 아니라 활주로의 방향을 알려주는 특징을 사용한다.

 

2. 활주로의 끝단을 구분할 수 있는 모든 것들(눈 더미)을 주의한다. 눈의 깊이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눈의 질감이나 음영의 미묘한 변화를 찾는다.

 

h. Off-Airport Landings.

 

1. off-airport landing 도중 조종사는 참조점을 얻기 위해 여러 가지 시각 단서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시각적 대비를 만들기 위해 모든 것을 사용한다. 자연적인 참조점들(나무, 바위 등등)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a) Over flight.

(b) Use of markers.

(c) Weighted flags.

(d) Smoke bombs.

(e) Any colored rags.

(f) Dye markers.

(g) Koolaid.

(h) Trees or tree branches.

 

2. 평평한 지역에서 눈의 깊이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참조점으로 이용하기 위해 항공기로부터 떨어뜨린 물건은 시각적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어야하지 주요 착륙 참조점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해당 물건이 생분해성이 아니라면 착륙 후 반드시 회수해야 한다. 시각적 참조점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는 착륙하지 않는다.

 

3. 흩날리는 눈이 참조점을 가릴 경우 착륙을 중단한다. 가까이 가면 참조점을 다시 볼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 않는다.

 

4. 햇빛에서 그늘로 비행할 때에는 각별히 주의하라. 비록 직진비행을 수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원심력으로 인해 spiral dive를 수행하고 있을 수 있다. 시각 참조점이 없다면 이러한 착각이 더 심해진다. 시각 참조점이 잘 보인다 하여 계속 비행해도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다. 현재 진행 방향에서는 보이지 않는 눈 덮인 지형이 있을 수 있다. 시각 참조물이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것은 치명적일 수 있다.

 

i. Flying Around a Lake.

 

1. 호숫가를 따라 비행하는 경우에는 호숫가를 참조점을 삼는다. 설령 반대편이 보이더라도 깊이 감각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호수를 건너야 하는 경우에는 고도계를 자주 확인해야 하며 좋은 참조점이 잘 보이는 동안 안전 고도를 유지한다. 해당 고도 이하로 하강하지 않는다.

 

2. 눈 덮인 평평한 지역에서도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좋은 참조점이 없다면 해당 지역을 피한다.

 

j. Other Traffic. 해당 지역의 다른 항적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다른 항적이 너와 동일한 참조점을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같은 방향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들보다 충돌 가능성이 높다.

 

k. Ceilings. 낮은 ceilings는 조종사를 방심하게 만든다. 구름이 항상 지표면으로부터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하여 조종사는 하강 선회를 수행할 수 있다.

 

l. Glaciers. 빙하 상공을 비행할 때에는 고도에 유의한다. 빙하가 항공기의 상승률보다 더 빠르게 높아지고 있을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