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 Takeoff

 

instrument takeoff 수행 능력은 낮은 시정, , 낮은 ceiling, 혹은 야간에 출항하는 도중 비행계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숙련도와 자신감을 제공한다. “visual”에서 “instrument” flight로 급격하게 전환할 경우 심각한 방향감각 상실 및 제어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instrument takeoff 기법은 비행기 유형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방법은 비행기가 단발이든 다발이든, tricycle gear이든 conventional gear이든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nosewheel, 혹은 tailwheel이 일직선인 상태에서 비행기를 활주로 중심선에 정렬한다. 이륙 준비를 하는 동안 비행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ailwheellock 하고(, 만약 장비한 경우) 브레이크를 단단히 잡는다. heading indicatornose indexrunway heading에 가장 가까운 5도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는 이륙 도중 heading이 약간만 변화하여도 즉시 감지하기 위함이다. 계기를 uncage한 후 knob를 돌림으로서 일정한 heading이 지시되는지 확인하여 계기의 uncage를 확인한다(, caging 기능이 있는 경우). rotatable needle을 갖춘 electric heading indicat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시침이 top index 아래에서 기수 방향을 가리키도록 조정한다. partial rudder를 필요로 하는 rpm으로 throttle을 증가한다.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출력을 takeoff 수치로 부드럽게 증가한다.

 

takeoff roll 도중 rudder를 사용하여 heading indicatorheading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발 엔진 프로펠러 비행기의 경우에는 방향 유지를 위해 differential throttle 또한 사용한다. 브레이크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과조작, 그리고 takeoff roll 연장으로 이어지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최후의 수단인 경우 제외). 브레이크를 풀었을 때 발생한 heading 편차는 반드시 수정되어야 한다.

 

비행기가 가속함에 따라 heading indicator와 속도계를 빠르게 cross-check 한다. 자세계는 약간의 nose-up attitude로 세차가 가해질 수 있다. 비행 속도에 가까워지면(takeoff speed로부터 대략 15 ~ 25 노트 낮은) 적절한 이륙 자세를 자세계에 만들기 위하여 부드럽게 elevator control을 가한다. 이는 대부분의 small airplanes에서 대략 2 bar width climb 지시를 나타낸다.

 

비행기가 지면을 떠나는 동안 heading indicatorattitude indicator를 계속하여 빠르게 cross-check 한다. 설정한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비행기가 날아가게 만든다. 자세계를 참조하여 pitch-and-bank control을 유지한다. heading indicatorheading 편차가 나타난 경우 수정을 적용한다. 고도계와 VSIcrosscheck 하여 positive rate of climb(고도계 지시침이 안정적으로 회전하고 VSI는 안정적인 상승률을 나타냄)를 확인한다.

 

고도계가 안전 고도(대략 100ft)를 나타내면 자세계를 참조하여 자세를 유지함과 동시에 landing gearflaps를 올린다. gear/flap의 작동으로 인해 조종간 압력이 변화하므로 조종사가 pitch 지시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는 한 과조작이 발생할 수 있다. 안정적인 상승 자세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조종간 압력을 trim 한다. 고도계, VSI, 그리고 속도계를 점검하여 상승 속도까지 부드럽게 가속하는지 확인한다(고도계와 속도계 상승, 수직 속도 안정). 상승 속도에 도달하면 POH/AFM의 상승 설정으로 출력을 줄인다. 조종간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항공기를 trim 한다.

 

instrument takeoff 도중 cross-check 및 판독이 신속해야 하며 부드럽고 확실한 control을 가해야 한다. liftoff, gear/flap 상승, 출력 감소, 그리고 조종간 반응의 변화는 신속한 cross-check, 조종간 압력 조절, 그리고 정확한 trim 변화를 필요로 한다.

 

Common Errors in Instrument Takeoffs

 

instrument takeoff 도중 발생하는 일반적인 실수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이륙 전에 충분한 조종실 점검을 수행하지 않음. 조종사들은 속도계가 작동하지 않거나(pitot tube가 막혀서), gyrocage 된 상태이거나, controllock된 상태이거나, 혹은 기타 많은 실수(부주의, 혹은 서두름으로 인한)들과 함께 instrument takeoff를 시도하였다.

 

2. 활주로에 제대로 정렬하지 못함. 이는 활주로 정렬 이후 브레이크를 부적절하게 적용하여 비행기가 옆으로 벗어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혹은 nosewheel, 혹은 tailwheel이 삐뚤어진 상태에서 활주로에 정렬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어찌되었든 이륙이 시작된다면 그 결과 방향 제어 문제가 발생한다.

 

3. 출력의 부적절한 적용. 갑작스러운 출력 적용은 방향 제어를 복잡하게 만든다. 출력을 부드럽게, 그리고 중단 없이 적용한다.

 

4. 부적절한 브레이크 사용. 부적절한 좌석, 혹은 rudder 조정으로 인해 발이 불편한 위치에 놓일 경우 브레이크의 부주의한 적용, 그리고 과도한 heading 변화로 이어진다.

 

5. rudder pedal 과조작. 이는 heading 변화를 늦게 인지하거나, 조종간에 긴장이 가해지거나, heading indicator를 잘못 판독하거나(이로 인해 잘못된 방향으로 수정), 항공기 가속에 따른 rudder control의 유효성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혹은 기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heading 변화 확인 시 rudder의 미세한 움직임만으로 수정이 즉시 이루어진다면 방향이 틀어지려는 경향이 감소할 수 있다.

 

6. 이륙 후 자세를 유지하지 못함. 비행기 이륙 시 조종사가 육감과 경험에 의해 반응한다면 pitch control이 추측으로 수행된다. 조종사는 trim 변화에 대한 반응에 따라 과도한 pitch를 허용하거나, 혹은 과도한 forward elevator pressure를 가할 수 있다.

 

7. 불충분한 cross-check. trim 변화 시, 자세 변화 시, gear/flap 조작 시, 그리고 출력 변화 시 fix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조종간 입력을 적용하였다면 cross-check을 계속 진행하고 그 다음 cross-check 시 그 영향을 확인한다.

 

8. 불충분한 계기 판독. 계기 지시를 즉시 이해하지 못한다면 기동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