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5. Airway or Route Course Changes

 

a. 조종사는 비행하는 airwaysroutes를 준수해야 한다. 특히 course 변경 도중 이를 준수하기 위해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course 변경은 변수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course 변경 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은 조종사만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고려해야할 몇몇 변수들로는 선회 반경, 바람의 영향, 속도, 선회해야할 각도, 그리고 조종실 계기가 있다. 아래에 표시된 early turnairwaysroutes를 준수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course 변경 시 선회를 lead 하기 위해 조종실 계기(예를 들어 Distance Measuring Equipment)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navigational aidsfixes 사이의 airway 중심선을 따라, 그리고 direct course를 따라 운영하는 것을 요구하는 14 CFR Section 91.181의 목적과 일치한다.

b. fix 상공에서, 혹은 fix 통과 후 선회를 수행할 경우 airwayroute의 경계선을 초과할 수 있다. 그림 5-3-1은 이러한 flight track의 예시를 보여준다.

 

c. 선회를 lead 하지 않을 경우 TAS(true air speed) 290 노트를 초과하는 항공기는 airwayroute의 경계선을 초과할 수 있다. 이는 course를 변경하는 양, 풍향 및 풍속, turn fix의 특성(DME, overhead navigation aid, intersection), 그리고 course 변경을 수행하는 조종사의 기술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17,000ft MSL에서 TAS 400 노트에 25bank로 운영되는 항공기가 40도 이상의 course 변경을 수행할 경우 airwayroute의 폭(중심선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4nm)을 초과할 것이다. 그러나 18,000ft MSL 미만의 공역에서 TAS 290노트를 초과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또한 TAS 290노트를 초과하는 항공기의 course 변경 상황에서 추가적인 IFR 분리를 제공하는 것은 공역 낭비를 초래하며 저속 항공기들에게 불이익을 부과한다. 따라서 FAA는 조종사로 하여금 course 변경 도중 airwaysroutes를 최대한 준수하기 위해 선회를 lead 하도록, 그리고 필요하다 판단되는 기타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