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안전을 중시하는 조종사는 loss of control in flight(LOC-I)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LOC-I는 미국, 그리고 전 세계 상업 항공편의 사고 주요 원인이다. LOC-I는 의도하는 비행경로로부터의 항공기 이탈을 포함하며 종종 airplane upset으로 인해 발생한다. maneuveringgeneral aviation LOC-I 사고가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LOC-I 사고는 비행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한다.

 

LOC-I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종사가 loss of control 위험을 증가시키는 상황에 대한 인식을 강화 및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는 삼타일치 되지 않은 비행, 장비 고장, 조종사의 안일함, 주의 산만, 난기류, 그리고 risk management의 부족을 포함한다. 조종사가 자격이 없거나, 혹은 능숙하지 않음에도 IMC(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에서 비행하려는 시도는 risk management 부족의 일반적인 예시이다. 이 교재의 Emergency Procedures chapter에는 의도치 않은 IMC 비행에 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애석하게도 안전을 의도적으로 무시하여 발생한 LOC-I 사고도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마주하였을 때 항공기 제어를 유지하기 위해서 조종사는 LOC-I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조종사는 비행기가 실속에 접근하고 있는지, 이미 실속에 빠졌는지, 혹은 upset 상황인지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며 항공기 회복을 위한 올바른 절차를 이해 및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Defining an Airplane Upset

 

“upset”이라는 용어는 “Airplane Upset Recovery Training Aid”의 일부분인 “Pilot Guide to Airplane Upset Recovery”로부터 2004년에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들은 “unusual attitude”“loss of control”을 설명하기 위한, 그리고 특정 매개변수를 일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용어를 고안하려고 하였다. FAA는 비행 도중, 혹은 훈련 도중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매개변수를 의도치 않게 초과하는 상황을 upset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1. 25도 이상의 pitch up attitude

2. 10도 이상의 pitch down attitude

3. 45도 이상의 bank angle

4. 위의 매개변수 범위 내에서 비행하지만 비행 속도가 적절하지 않음.

 

위의 적절하지 않은 속도란 비정상적인 항공기 상태(예를 들어 실속)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속은 속도가 아닌 받음각과 직결된다.

 

LOC-I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조종사는 UPRT(upset prevention and recovery training)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는 slow flight, stalls, spins, 그리고 unusual attitudes가 포함되어야 한다.

 

upset trainingupset의 이해 및 예방에 상당한 중점을 둠으로써 조종사가 그러한 상황을 피하게 만든다. upset training은 만약 upset이 발생하였다 해도 적절한 회복 기술을 강화시키게 만든다. UPRT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는 핵심 개념, 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비행기나 시뮬레이션의 종류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기동,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 장의 뒷부분에 설명된다.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5: Maintaining Aircraft Control: UP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Upset Prevention and Recovery  (0) 2022.12.15
(3) Slow flight  (0) 2022.12.15
(4) Stalls  (0) 2022.12.15
(5) Chapter Summary  (0) 2022.12.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