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monstration of Spatial Disorientation

 

조종사가 공간정위상실을 실험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는 기동들이 있다. 각 기동은 보통 특정 착각만을 발생시키긴 하지만 이때 발생한 모든 잘못된 감각들은 방향감각 상실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기동들 도중 아무런 감각을 느끼지 못하였다 해도 bankroll을 감지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여전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동들을 시연하는 몇 가지 목적이 있다.

 

1. 인간은 공간정위상실에 빠지기 쉽다는 점을 가르쳐 준다.

 

2. 신체감각을 기반으로 하는 항공기 자세 판단이 종종 잘못됨을 보여준다.

 

3. 항공기 움직임, 머리 움직임, 그리고 이로 인한 공간정위상실 사이의 관계를 더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방향 감각 상실을 줄이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4. 항공기의 진짜 자세를 평가하는데 있어 비행계기를 의존하도록 돕는다.

 

조종사는 이러한 기동들을 낮은 고도에서, 혹은 교관이나 safety pilot이 없는 상태에서 수행해서는 안 된다.

 

Climbing While Accelerating

 

조종사가 눈을 감고 있을 때 교관은 접근 속도로 직진수평비행을 몇 초간 유지한다. 그런 다음 직진수평비행을 유지하면서 가속을 시작한다. 이 기동 도중 조종사는 조종사는 눈을 감고 있으므로 상승하고 있다는 착각을 경험한다.

 

Climbing While Turning

 

조종사가 눈을 감고 있을 때 교관은 직진수평비행을 유지한다. 그런 다음 가급적 천천히 1.5G의 선회(대략 50bank)로 진입하여 90도를 이동한다. 선회 도중 조종사는 눈을 감고 있으며 약간의 +G를 느끼므로 상승하고 있다는 착각을 경험한다. 상승을 감지한 조종사는 즉시 눈을 뜬 다음 이러한 기동이 상승과 동일한 감각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Diving While Turning

 

이전 절차에서 선회로부터의 roll out이 대략 절반 정도 완료되기 전까지 조종사가 눈을 감고 있으면 하강하고 있다는 착각을 경험한다.

 

Tilting to Right or Left

 

조종사가 눈을 감고 있을 때 교관은 직진수평 자세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날개 수평 상태에서 좌측으로 skid를 만든다. 이는 몸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날개 수평 상태에서 우측으로 skid가 만들어지면 몸이 왼쪽으로 기울어진 착각을 느낄 수 있다.

 

Reversal of Motion

 

이 착각은 세 가지 운동 평면 중 어디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조종사가 눈을 감고 있을 때 교관은 직진수평비행을 유지한다. 그런 다음 headingpitch를 유지한 상태에서 항공기를 약 45bank로 부드럽게 선회한다. 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Diving or Rolling Beyond the Vertical Plane

 

이 기동은 극심한 방향감각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 조종사가 눈을 감고 있을 때 교관은 직진수평비행을 유지한다. 그 다음 교관은 30 ~ 40도의 bank로 선회를 시작한다. 이때 조종사는 머리를 앞으로 젖히고, 오른쪽이나 왼쪽을 바라보고, 원래의 꼿꼿한 머리 자세로 되돌아간다. 교관은 조종사가 본인의 머리를 원래 자세로 되돌릴 때 선회가 멈출 수 있도록 기동을 조절해야 한다. 이 기동에 의해 보통 극심한 방향감각이 발생하며 조종사는 선회 방향으로 하강하는 감각을 경험한다.

 

이러한 기동 시 교관이 비행을 수행한다. 허나 조종사가 비행을 수행하는 것 또한 매우 효과적인 시연이 될 수 있다. 조종사는 눈을 감은 다음 머리를 한 쪽으로 기울여야 한다. 교관은 어떤 조종 입력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조종사에게 알려준다. 조종사는 눈을 감고 머리를 기울인 상태에서 정확한 자세를 설정하려 시도한다. 조종사는 실제 자세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므로 본인의 감각에 반응할 것이다. 잠시 후 조종사는 방향감각을 상실하게 되며 교관은 눈을 뜨고 회복을 수행하라 말한다. 이러한 훈련의 이점은 조종사가 항공기를 조종하는 동안 방향감각을 상실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