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Procedures
안전한 계기 비행을 위해서는 교신이 명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조종사와 관제사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AIM의 Pilot/Controller Glossary는 용어와 정의에 대한 최고의 출처이다. AIM은 1년에 두 번 개정되며 새로운 정의들이 추가되므로 glossary를 자주 검토해야 한다. clearance와 instruction은 주로 문자와 숫자로 구성되므로 이를 위한 음성 발음 안내서(phonetic pronunciation guide)가 개발되었다. [그림 2-5]
ATC는 조종사와 교신할 때 Air Traffic Control Manual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 이 매뉴얼은 관제사에게 다양한 상황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해야 할 정확한 용어를 규정한다. 이는 조종사에게 득이 된다. 왜냐하면 일단 조종사가 관제사의 패턴을 인지하게 되면 이후의 관제사 송신이 해당 패턴을 따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제사들은 조종사의 경험, 능숙함, 그리고 전문성에 따라 다양한 교신 스타일을 경험한다.
조종사는 AIM의 예시를 연구하고, 다른 조종사들의 교신을 듣고, 습득한 사실들을 ATC와의 교신에 직접 적용해야 한다. 조종사는 clearance나 instruction에 대해 명확하지 않은 점이 있다면 관제사에게 질문을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영어를 사용하며 관제사도 동일한 방식으로 응답하기를 기대한다. 관제사와 조종사의 협력이 있어야 안전한 계기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strument Flying Handbook(2012) > 2: The Air Traffic Control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Introduction (0) | 2023.03.10 |
---|---|
(2) Communication Equipment (0) | 2023.03.10 |
(4) Communication Facilities (1) | 2023.03.10 |
(5) ATC Inflight Weather Avoidance Assistance (0) | 2023.03.10 |
(6) Approach Control Facility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