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ADM(Aeronautical decision-making)은 항공기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이다. 이는 주어진 상황에 대하여 최선의 조치를 내리기 위해 조종사가 사용하는 정신적 과정에 대한 체계적 접근법이다. 이는 조종사 본인이 가진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자 의도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ADM 기법에 대한 학습 및 이해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조종사 훈련 방법, 항공기 장비 및 시스템, 그리고 조종사를 위한 서비스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비행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요인은 그래도 남아있다. 바로 인적 요소이다. 항공 사고의 약 3/4(대략 80%)이 인적 요소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고의 대다수는 착륙(24.1%)과 이륙(23.4%) 도중 발생하였다. (ATP: 착륙 사고가 이륙 사고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긴 하나 치명적 사고는 이륙 도중 더 많이 발생하였다.) [그림 2-1]

ADM은 위험 평가(risk assessment)와 스트레스 관리(stress management)에 대한 체계적 접근법이다. ADM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적인 태도가 의사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며 조종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태도를 어떻게 수정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인간이 의사 결정을 하게 만드는 요인을, 의사 결정 과정이 작용하는 방법을, 그리고 의사결정 과정이 개선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장에서는 비행과 관련된 위험 요소들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조종사가 ADM 기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초점을 맞췄다. Advisory Circular (AC) 60-22, “Aeronautical Decision-Making”은 범용 항공(GA)에서의 ADM 훈련에 대한 배경, 정의, 그리고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2-2]

'PHAK(2023) > 2: Aeronautical Decision-Ma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History of ADM  (0) 2023.11.24
(3) Risk Management  (1) 2023.11.24
(4) Crew Resource Management (CRM) and Single-Pilot Resource Management  (0) 2023.11.24
(5) Hazard and Risk  (1) 2023.11.24
(6) Human Factors  (0) 2023.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