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10. Flight Operations in Volcanic Ash

 

a. 화산재와 이산화황(SO2) 기체를 대기 상층으로 내보내는 화산 폭발이 매년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다. 화산재 구름 속으로 비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B747-200이 화산재 구름을 조우한 후 엔진 네 개를 모두 잃었으며 B747-400도 동일한 상황을 겪었다. 피스톤 항공기의 경우 출력 손실을 겪을 가능성이 적다. 허나 불과 몇 시간밖에 되지 않은 화산재 구름을 조우하는 경우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하다.

 

b. 가장 중요한 것은 화산재를 피하는 것이다. 화산재 기둥이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특히 instrument conditions인 경우, 혹은 야간인 경우) 설령 보이더라도 이를 일반적인 구름과 구별하는 것은 어렵다. 화산재 구름은 공중 레이더나 ATC 레이더에 표시되지 않는다. 조종사는 관제사나 다른 조종사의 보고를 통해 화산재 구름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며 해당 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항공기 내에서 유황 냄새가 날 경우 이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방출된 이산화황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허나 화산재는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 화산의 풍상쪽에 머무르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c. 화산재 구름을 조우한 조종사는 즉시 추력을 idle로 줄이고(, 고도가 허용하는 경우) 구름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경로를 변경한다. 화산재 구름은 수백 마일까지 확장될 수 있으므로 조종사는 구름을 통과하려 시도해서는 안 된다. 또한 다음 절차를 따르는 것이 좋다:

 

1. autothrottle을 해제한다. 이는 autothrottle이 엔진 추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continuous ignition을 켠다.

 

3. 모든 accessory airbleeds를 켠다(air conditioning packs, nacelles, 그리고 wing anti-ice 포함). 이는 엔진 압력을 감소시켜 엔진 실속 여유를 더 제공한다.

 

b. 화산재 구름을 경험한 조종사들이 보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종실 내 연기나 먼지.

 

2. 전기적 연기와 유사한 매캐한 냄새.

 

3. 여러 가지 엔진 오작동(예를 들어 compressor stalls, EGT 증가, tailpipe에서의 불꽃, 그리고 flameouts).

 

4. 야간에 engine inlets에서 주황색 빛을 동반하는 코로나 방전, 혹은 그 외 정전기 방전.

 

5. forward cargo area에서의 화재 경고.

 

e. EGT 한계의 초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을 껐다가 다시 시작해야 할 수도 있다. 화산재가 pitot system을 막아서 속도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f. 만약 화산 폭발을 목격하였는데 사전 통보를 받지 못했었다면 당신이 화산 폭발을 가장 먼저 목격한 사람일 수 있다. 이 경우 즉시 ATC에 교신하여 화산 폭발을 알린다. 만약 가능하다면 본 매뉴얼의 Appendix 2에 그려진 Volcanic Activity Reporting form (VAR)을 사용한다. VAR1 ~ 8번 항목은 즉시 전달되어야 한다. 9 ~ 16번 항목은 착륙 후 전달되어야 한다. VAR 양식을 즉시 이용할 수 없다면 화살 활동의 위치 및 특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한다. 증기, 혹은 아주 낮은 수준의 화산재 분출만이 있다면 크게 놀라지 않아도 된다.

 

g. 마른 화산재가 활주로에 얇게 쌓여있어도 제동 작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활주로의 젖은 화산재 또한 제동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reverse thrust로 인한 시정 감소와 엔진 화산재 흡입을 줄이기 위해 이를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

 

h. 화산재가 쌓인 공항에서 출항하는 경우 눈에 보이는 화산재를 피하는 것이 좋다. takeoff roll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화산재가 가라앉길 기다린다. 또한 before takeoff checklist를 시작하기 전까지 flap 연장을 지연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리고 화산재를 다시 공중으로 날리지 않기 위해 rolling takeoff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