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ting the Course
기상을 확인하였고 몇 가지 예비 계획을 완료하였다면 이제는 course를 작성하고 비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결정할 차례이다. 다음 섹션에서는 course 작성, flight log 작성, 그리고 비행 계획서 제출 도중 따라야 할 논리적 순서가 제공된다. 아래의 정보와 그림 16-25를 통해 비행을 계획해보자.
Steps in Charting the Course
다음은 비행과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권장하는 순서이다. 정보가 결정되면 이를 flight log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림 16-26]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학적 공식이나 manual/electronic flight computer를 이용할 수 있다. manual/electronic flight computer의 사용 방법에 익숙하지 않다면 설명서를 읽어보고 몇몇 연습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먼저 Chickasha Airport(point A)에서 Guthrie Airport(point F)까지 직선을 그린다. course line은 출항 공항의 중심에서 시작되어 목적지 공항의 중심에서 종료되어야 한다. 직항 경로인 경우에는 course line이 하나의 직선으로 구성된다. 직항 경로가 아닌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직선 구간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비록 VOR station이 직항 경로로부터 벗어나있다 하더라도 항법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이를 선택할 수 있다(무선 항법은 이 장의 뒷부분에서 설명된다).
경로를 따라 적절한 checkpoints를 선택한 다음 이를 어떤 방법으로든 기록해둔다. 이러한 checkpoints는 찾기 쉬운 지점(예를 들어 대도시, 큰 호수, 그리고 강)이거나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들이 조합된 지점(예를 들어 공항이 있는 도시, 고속도로망이 있는 도시, 그리고 철도가 오고가는 도시)이어야 한다.
보통 차트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도시만 선택하라. 작은 원으로 표시된 도시는 선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도시에는 집이 대여섯 채에 불과할 수도 있다. (단, 외딴 지역에서는 작은 원으로 표시된 도시가 눈에 띄는 checkpoints가 될 수 있음). 이 비행을 위해 네 개의 checkpoints가 선정되었다. checkpoint 1은 course의 동쪽에 위치한 타워이며 course와 평행하게 놓인 고속도로와 철도를 통해 더 자세히 식별될 수 있다. checkpoint 2는 course의 서쪽에 위치한 장애물이며 바로 동쪽에 위치한 Will Rogers World Airport를 통해 더 자세히 식별될 수 있다. checkpoint 3은 Wiley Post Airport이며 항공기는 이 공항의 상공을 통과해야 한다. checkpoint 4는 course의 서쪽에 위치한 개인 공항이며 course의 동쪽에 위치한 철도와 고속도를 통해 더 자세히 식별될 수 있다.
계획하는 경로의 주변에 조종사가 주의해야 하거나 특별한 운영 조건을 필요로 하는 공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course가 Will Rogers World Airport를 둘러싼 C등급 공역(point B)을 통과한다. 이 공역의 하단은 2,500ft MSL이고 상단은 5,300ft MSL이다. 또한 관제탑이 운영되는 동안 지표면으로부터 3,800ft MSL까지 Wiley Post Airport를 둘러싸는 D 등급 공역(point C)도 있다.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지형 및 장애물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가장 높은 표고, 가장 낮은 표고, 그리고 가장 높은 장애물을 파악한 다음 14 CFR part 91을 준수하는 적절한 고도를 선택할 수 있다. 지형으로부터 3,000ft 너머를 비행하는 경우에는 비행 방향에 적합한 순항 고도를 준수해야 한다. 특히 경로 상에 험준한 지형이 있는지 확인하해서이를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착륙이 수행되는 지역에 높은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텔레비전 송신탑이 주변 지형으로부터 1,500ft 너머로 뻗어있을 수 있다. 조종사는 송신탑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를 인지해야 한다. 이번 비행에서 가장 높은 장애물은 2,749ft MSL(point D)의 안테나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가장 높은 표고는 북동쪽 사분면에 위치하며 2,900ft MSL(point E)이다.
바람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C등급 공역과 D등급 공역의 상공을 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5,500ft MSL을 선택한다. 이 고도는 모든 장애물로부터 충분한 안전거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14 CFR part 91의 조건(0 ~ 179도의 magnetic course에서는 홀수 고도 +500ft)에도 부합한다.
그런 다음에는 course의 총 거리와 checkpoints 사이의 거리를 측정해야 한다. 총 거리는 53NM이고 checkpoints 사이의 거리는 그림 16-26의 flight log에 표시되어 있다.
거리를 결정하였다면 TC를 측정한다. TC는 031도이다. TH가 설정되었다면 이제 compass heading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이 장의 앞부분에 설명된 공식을 따르면 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TC ± WCA = TH ± V = MH ± D = CH
WCA는 manual/electronic flight computer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풍향 360도 · 풍속 10노트를 통해 WCA가 3도 왼쪽으로 결정된다. 이를 TC에서 빼면 TH 28도가 결정된다. 그런 다음 비행경로와 가장 가까운 등편차선을 찾아서 편차를 결정해야 한다. 그림 16-25에서 편차가 6.30°E(7°E로 반올림)로 표시되므로 TH에서 이 값을 뺀다. 그 결과는 MH 21도이다. 그런 다음 자차를 보정하기 위해 MH에 2를 더한다. 그 결과 compass heading 23도가 주어진다.
이제 GS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manual/electronic flight computer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GS는 106노트로 계산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총 비행시간, checkpoints 사이의 시간, 그리고 연료 소비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들은 manual/electronic flight computer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이 비행의 경우 GS는 106노트이고, 총 비행시간은 35분이며, 연료 소비량은 4.7갤런이다. checkpoints 사이의 시간은 그림 16-26의 flight log를 참조한다.
비행 도중 headings와 time을 기록하고 heading, GS, 그리고 time을 수정할 수 있다.
'PHAK(2023) > 16: Navig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Dead Reckoning (1) | 2023.12.20 |
---|---|
(8) Flight Planning (0) | 2023.12.20 |
(10) Filing a VFR Flight Plan (0) | 2023.12.20 |
(11) Ground-Based Navigation (1) | 2023.12.20 |
(12) Lost Procedures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