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and Resource management

 

지상 운영은 risk 요소들에 대한 조종사의 평가(이는 비행 안전에 기여함), 그리고 resources(이는 비행의 성공을 극대화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음)에 대한 조종사의 관리를 포함한다. 이 주제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위해 Risk Management Handbook(FAA-H-8083-2)를 검토해야 한다.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에서는 전체 항공 사고의 약 85%조종사의 실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줄이는 것이 risk and resource management의 근본적인 초석이다.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과 관련된 risk는 일상적인 활동에서 경험하는 risk(예를 들어 직장으로 운전하는 것)와는 매우 다르다. riskresources를 관리하는 것은 비행기 조종 기술을 넘어서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Risk Management

 

Risk managementhazards를 식별 및 완화하기 위한, 그리고 수용된 risk의 결과와 이익을 평가하기 위한 정형화된 과정이다. hazard는 계획되지 않은, 혹은 원하지 않는 사건(예를 들어 사고)을 초래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상태, 사건, 물체, 혹은 상황이다. hazards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1. Marginal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2. Lack of pilot qualification, currency, or proficiency for the intended flight.

 

Identifying the hazard

 

hazard identificationrisk management 절차의 첫 번째 단계이다. 만약 조종사가 hazard를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여 계속하기로 선택하였다면 연관된 risk가 관리 및 완화되지 않는다. 이전 예시에서 hazard identification 절차는 다음과 같은 평가로 이어진다:

 

marginal weather, 혹은 environmental conditionshazard이다. 왜냐하면 조종사가 기상 상황을 처리하기엔 적합하지 않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거나, 혹은 비행기 성능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종사의 훈련 부족은 hazard이다. 왜냐하면 조종사에게 필요한 법적 조건, 혹은 안전한 비행을 위한 최소한의 기술을 충족하는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Risk

 

risk는 제어되지 못한, 혹은 제거되지 못한 hazard의 미래 영향이다. 이는 hazard에 의해 발생한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여겨질 수 있다.

 

기상, 혹은 environmental condition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였다면(예를 들어 부주의로 인해 비행기가 IMC를 조우할 수 있는 경우) 비행기 제어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

조종사의 훈련 부족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였다면 조종사는 본인의 능력을 초과하는 비행 상태에 놓일 수 있다.

 

Risk Assessment

 

risk assessmentrisk의 정도를, 그리고 계획된 활동의 결과에 이 risk가 가치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계획된 활동이 시작되었다면 조종사는 이를 계속할지 고려해야 한다. 조종사는 원래 비행 계획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 실행 가능한 대안을 항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hazardriskrisk management의 본질적인 의미를 규정하는 두 가지 요소이다. hazard는 조종사가 마주하는 실제의, 혹은 예상되는 조건, 사건, 혹은 상황일 수 있다. risk assessment는 작업, 조치, 혹은 상황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정량적 가치이다. 활동에 대하여 risk assessment를 준비하였다면 조종사는 risk를 관리 및 완화할 수 있다.

 

marginal weatherhazard인 예시에서 부주의로 인해 IMC를 조우하여 제어 상실로 이어진 경우 이는 계기 비행 계획으로 비행할 준비가 되지 않은 조종사에게 심각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조종사에 대한 risk assessment를 통해 risk가 수용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그 결과 risk의 완화가 필요하다. 위험 완화를 위해 비행을 취소하거나, 혹은 지연시켜야 한다.

 

Risk Identification

 

hazards, 그리고 이와 연관된 risk를 식별하는 것은 위험과 사고를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만약 조종사가 risk를 찾는 데 실패한다면 조종사는 risk가 나타내는 것을 인지하지도, 그리고 예상하지도 못할 가능성이 있다. 불행히도 조종사들은 그들의 작은 판단 실수로부터 배울 기회가 거의 없다. 왜냐하면 그 작은 실수조차도 종종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risk를 식별하기 위해 표준 절차를 사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몇 가지 절차는 Risk Management Handbook(FAA-H-8083-2)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Risk Mitigation

 

Risk assessment는 방정식의 일부일 뿐이다. risk의 정도를 결정한 후 조종사는 risk를 완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marginal flight conditions에서 A지점으로부터 B지점(50마일)로 비행하는 VFR 조종사는 risk를 감소시킬 몇 가지 방법을 가진다:

 

1. 기상이 VFR로 개선되길 기다린다.

2. 경험이 더 많은 조종사, 혹은 IFR이 인증된 조종사를 동행한다.

3. 비행을 연기한다.

4. 비행을 취소한다.

5. Drive

 

Resource Management

 

CRM(crew resource management)SRM(single-pilot resource management)에 익숙해지는 것은 승무원이나 조종사로 하여금 이용 가능한 resource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성공적인 비행으로 이어진다. general aviation에서는 SRM이 더 자주 사용된다. SRMsingle-pilot 운영에 중점을 둔다. SRM은 다음을 통합한다:

 

Situation Awareness

Human Resource Management

Task Management

Aeronautical Decision-making(ADM)

 

1. Situation Awareness

 

상황 인식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운영상 요인,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비행기, 외부 지원, 환경, 그리고 조종사를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인 분석이다. 이것은 비행기 안, 그리고 비행기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하여 인지하는 것이다.

 

2. Human Resource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는 모든 이용 가능한 resources(사람, 장비, 그리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을 필요로 한다.

 

인적 자원은 비행의 안전을 위해 조종사와 일상적으로 함께 일하는 필수 인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람들에는 weather briefers, flight line personnel, maintenance personnel, crew members, pilots, air traffic personnel을 포함한다. 조종사는 이러한 사람들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 이것은 의사소통 과정의 핵심 요소(질문, 옹호, 그리고 주장)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조종사는 타당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이러한 자원으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찾아낼 필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이후 조종사의 결정이 관계자들(예를 들어 항공 교통 관제사, 승무원, 그리고 승객)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조종사는 일부 상황을 안전하게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적극적이어야 한다.

 

오늘날 항공기의 많은 장비에는 자동화된 비행 및 항법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시스템은 많은 일상적 작업을 줄여주지만 조종사에게 다른 문제를 제시한다. 조종사 업무량을 줄이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조종사로 하여금 항공기 관리 절차에서 배제시켜 상황 인식을 줄이고 현 상태에 안주하게 만든다. 적절한 상황 인식을 위해 이러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조종사는 이러한 시스템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장비의 기능과 장비의 한계를 모두 알아야 한다.

 

안전한 비행을 위해 정보 작업, 그리고 자동화 시스템(예를 들어 autopilots)을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 사전 계획을 통해 조종사는 비행의 중요한 단계에서 업무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자신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조종사는 가능한 한 일찍 일상적인 업무를 완료한다. 이는 비행 후반(비행의 더 중요한 구간)에서 과부하와 압박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3. Task Management

 

조종사들은 제한된 정보 수용력을 가진다. 조종사의 정보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정보가 흘러온다면 모든 부가적 정보들이 방치되거나, 혹은 이미 처리된 다른 작업과 정보를 대체한다. 또한 산만함, 그리고 fixation은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조종사가 계기 고장에 fix 될 경우 불필요한 집중으로 인해 더 중요한 업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4. Aeronautical Decision-Making (ADM)

 

안전한 비행을 위해서는 세 가지 별도의 기술(비행기 조종 기술, 항공기 시스템을 능숙하게 운영하는 기술, 그리고 ADM 기술)이 효과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ADM 절차는 조종실에서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의 모든 측면을 다루며 좋은 의사 결정과 연관된 단계들을 식별한다. ADM절차가 오류를 없애지는 않지만 조종사가 오류를 인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조종사가 오류를 관리하여 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해준다.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안전한 비행에 위험한 개인의 태도 파악

(2) 행동 변화 기술 학습

(3)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대처하는 방법 학습

(4) risk assessment 기술 개발

(5) 모든 resources 사용

(6) ADM 기술의 효율성 평가

'Airplane Flying Handbook(2021) > 2: Ground Oper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Introduction  (0) 2022.11.24
(2) Preflight Assessment of the Aircraft  (2) 2022.11.24
(4) Ground Operations  (0) 2022.11.24
(5) Engine Starting  (0) 2022.11.24
(6) Hand Propping  (0) 2022.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