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 Precipitation Types

 

14.4.1 Snow

 

기온의 수직 분포에 따라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강수의 유형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눈은 대기의 전체 높이에서 기온이 영하로 유지될 때 발생한다(그림 14-2 참조).

14.4.2 Ice Pellets

 

얼음싸라기(진눈깨비)는 영상의 기온을 가진 얕은 층이 상공에 존재하고 영하의 기온을 가진 깊은 층이 지표면에 존재할 때 발생한다. 눈이 영상의 기온을 가진 얕은 층으로 떨어지면서 눈송이가 부분적으로 녹는다. 이후 강수가 영하의 기온을 가진 깊은 층으로 떨어지면 얼음싸라기로 다시 얼어붙는다(그림 14-3 참조).

14.3 Freezing Rain

 

어는 비는 영상의 기온을 가진 깊은 층이 상공에 존재하고 영하의 기온을 가진 얕은 층이 지표면에 존재할 때 발생한다. 기온은 보통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진다. 허나 어는 비가 내리기 위해선 기온 역전이 필요하며 이는 따뜻한 기단이 차가운 기단을 덮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온난 전선을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처음에는 구름에서 비 및/혹은 눈이 내릴 수 있지만 따뜻한 층에서는 비만 내린다. 이후 비가 영하의 기온을 가진 층으로 떨어지지만 그 깊이가 얕기 때문에 얼음싸라기로 얼어붙을 시간은 없다(그림 14-4 참조). 이 빗방울은 지면이나 물체(예를 들어 항공기)와 닿은 후 얼어붙는다.

14.4 Rain

 

비는 영상의 기온을 가진 깊은 층이 지표면에 존재할 때 발생한다(그림 14-5 참조).

14.4.5 Hail

 

우박은 뇌우에 의해 생성된 공 모양의, 혹은 불규칙한 얼음 덩어리 형태의 강수이다. 뇌우의 특징인 강한 상승기류, 높은 SLWC(Supercooled Liquid Water Content), 큰 구름 방울 크기, 그리고 높은 수직 고도는 우박이 형성되는데 유리하다.

 

우박은 결빙 고도 너머에서 과냉각 물방울이 얼기 시작할 때 형성된다. 물방울이 한번 얼어붙으면 다른 물방울이 그 물방울에 달라붙고 얼어붙어서 우박이 성장한다. 큰 우박은 강한 상승기류가 높은 고도까지 발달한 severe thunderstorms와 함께 발생한다. 결국에는 우박이 떨어지는데 이를 뇌우로부터 몇 마일 떨어진 맑은 하늘에서도 마주할 수 있다.

 

우박의 개별 구성 단위를 hailstone이라 부른다. hailstone의 크기는 완두콩(지름 0.25인치)만한 것부터 소프트볼(지름 4.5인치)보다 큰 것까지 다양하다. 우박은 난기류와 함께 항공기에 가장 큰 뇌우 위험 요소로 꼽힌다. 지름이 0.75인치보다 큰 우박은 항공기에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항공기 제어를 어렵게 만든다. 2010723Vivian, SD에서 발견된 우박은 지름 8인치, 둘레 18.62인치, 그리고 무게 1.93파운드였다(그림 14-6 참조).

우박이 영상의 기온을 통과하게 되면 우박이 녹기 시작하고 그 결과로 지표면에 비나 우박의 형태로 강수가 내릴 수 있다. 지표면에 비가 내린다 해서 상공에 우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조종사는 어떠한 뇌우에서도(특히 큰 적란운의 모루구름 아래에서) 우박이 내릴 가능성을 예상해야 한다.

 

우박은 중위도 대륙 내부에서 가장 자주 발견되며 보통 열대 지방의 고지대로 국한된다. 미국에서는 로키 산맥 동쪽의 Great Plains 지역에서 우박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우박은 높은 상공과 높은 고지대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왜냐하면 우박은 결빙 고도 아래로 떨어지면 녹기 시작하며 작은 우박의 경우에는 지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빗방울로 녹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늘에서 보면 우박이 hail swaths라 불리는 특정 경로를 따라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ail swaths의 크기는 수 에이커에서 너비 10마일 및 길이 100마일까지 이를 수 있다. 제설차가 필요할 정도로 hail swaths에 우박 더미가 깊게 쌓이기도 하며 때때로 hail drift가 관측되기도 한다.

(출처: weatherlogics)

'Aviation Weather Handbook(2024) > 14: Precipit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1 Introduction  (0) 2025.07.08
14.2 Necessary Ingredients for Formation  (0) 2025.07.08
14.3 Growth Process  (0) 2025.07.08

+ Recent posts